박상우, 공항 콘크리트 둔덕에 “굉장히 잘못된 일, 즉시 교체”

백민정 2025. 1. 15. 00: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상우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무안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받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과 관련해 “굉장히 잘못된 일”이라며 “즉시 교체·보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달 개선 방안을 마련해 연내 완료한다고 했던 것에서 일정을 더 당겼다.

박 장관은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솔직히 말해 제가 생각해도 세이프티존(종단안전구역) 부근에 그런(위험한) 시설이 있는 건 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이처럼 말했다.

국토부가 최근 국내 공항 활주로 근처의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특별점검을 실시한 결과, 무안공항을 포함해 7개 공항의 9개 방위각 시설에서 개선 조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여수·포항경주공항에는 무안공항과 유사한 콘크리트 둔덕 형태의 방위각 시설 구조물이 있었고, 김해·사천공항에도 콘크리트가 땅 위로 튀어나온 구조물이 각 2개씩 있는 것으로 새롭게 파악됐다. 제주공항에는 H형 철골 형태의 단단한 구조물이 있었다.

박 장관은 “(활주로 인근의) 비상 대비 구역에 위험한 시설물을 둔 것은 굉장히 잘못된 일이라는 게 저희의 공식 입장”이라며 “즉시 개선 작업에 돌입해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개선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조류탐지 레이더와 활주로 이탈 방지 시스템(EMAS) 도입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박 장관은 “(사고) 초반에 국토부에서 방위각 시설 규정 관련해 물리적인 해석을 너무 좇았다는 아쉬움이 있다”며 고개를 숙였다. 국토부는 사고 이튿날(지난달 30일) 무안공항의 종단안전구역 바깥에 있던 방위각 시설이 규정에 맞게 설치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해명에 급급한 모습에 비판 여론이 일었다.

박 장관은 “어차피 이 세이프티존은 비상 상황에 대비해 만든 것인데, 제동력을 잃어버린 항공기가 어디로 갈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길이 10m, 20m가 큰 의미가 없다”며 “국토부가 로컬라이저 설치의 잘잘못을 가릴 일이 아니었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