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부자’ 가장 많이 사는 지방 아파트는...대구 위브더제니스 연봉 2.6억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방 부자들이 모여 살고 있는 핵심 아파트 단지의 경우 집값은 서울 핵심지에 비해 크게 못 미치지만, 소득과 소비수준이 서울 강남권 버금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경제와 부동산R114가 5대 광역시를 비롯, 서울을 제외한 지방자치단체 16곳(경기,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강원,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제주, 세종)의 집값·소비·소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값 서울보다 저렴하지만
소득·소비는 강남 수준 비슷
실소유자 비중 서울보다 높아
투자보다 직접 거주 목적 선호
지역별로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부자 아파트를 추려 가구별 데이터를 살펴보니, 지방에서는 대구와 부산을 대표하는 부촌 아파트 소득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 수성구 두산위브더제니스의 2024년 연소득은 2억6533만원으로 서울 서초구 반포동 신축 아파트 단지의 연소득과 비등했다. 부산 해운대 엘시티더샵 거주민의 경우에도 연소득이 2억2978만원에 달했다. 이어 대전 유성구 도룡동 스마트시티주상복합2단지(1억9223만원), 성남시 분당구 판교푸르지오그랑블(1억8834만원),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신영지웰시티1차(1억8834만원), 인천 서구 송도센트럴파크푸르지오(1억4706만원), 과천시 푸르지오써밋(1억4044만원) 순으로 연소득이 높았다.
지방 부자들의 월 소비수준은 강남, 서초, 용산 등 월 2000만원 이상을 쓰는 서울 핵심지에는 약간 못 미쳤다. 대구 두산위브더제니스의 월 카드 소비 금액이 177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 밖에 부산 해운대엘시티더샵(1607만원), 울산 옥동한신휴플러스(1175만원), 대전 스마트시티(1151만원), 판교푸르지오(1114만원), 청주 신영지웰시티(1082만원)가 월 지출 1000만원을 넘겼다.
지방 부자 아파트의 경우 실소유자 비중이 서울 부촌에 비해 더 높은 것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광주광역시에서 연소득 금액이 가장 높은 아파트인 광산구 수완코오롱하늘채의 실소유자 비율이 82%에 달했고, 전북 전주시 효천대방노블랜드에코파크(81%), 대전시 스마트시티(80%) 등이 80%를 넘겼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친엄마가 아닌 것 같다”…최면치료 중 ‘폭풍오열’ 한가인, 무슨일이 - 매일경제
- 최대 360조 투자…세계 최대 반도체 특화도시, 경기도 ‘이곳’에 뜬다 - 매일경제
- “월70만·5년 넣으면 5천만원”…내년부터 정부보조금 늘어 연9.54% 적금효과 - 매일경제
- “지드래곤이 아니였어”…사이버트럭 ‘국내 1호’ 차주된 유명가수의 정체 - 매일경제
- 유아인 63억 이태원 집, 새 주인은 7세 어린이...전액 현금 지불 - 매일경제
- 처음 보는 아기 머리에 ‘퍽’…휴대폰 휘두른 20대, 이유 물어봤더니 - 매일경제
- [단독] 신세계, 中알리바바 전격 맞손… 지마켓·알리익스프레스코리아 합작 - 매일경제
- 오늘의 운세 2024년 12월 27일 金(음력 11월 27일) - 매일경제
- “나 나인원한남 사는 사람이야”…연 24억 벌고 월 2천만원 카드 긁는다 - 매일경제
- 마무리 탈락→PS 엔트리 제외→보호선수 해프닝까지…그 어느 때보다 씁쓸한 한 해 보낸 돌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