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까지 올라가는 거예요’···재건축 평당 공사비, 1300만원 뚫었다

심윤지 기자 2024. 4. 22. 17: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반포22차’ 공사비 역대 최고가
7년 새 최초 계약액의 3배 웃돌아
공사 지연보다 낫다 판단해 수용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22차 재건축 공사비가 3.3㎡당 1300만원으로 확정되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다. 조합원 분담금 인상이 불가피하지만, 시공사와의 협상이 장기화할 경우 공사 지연으로 얻는 손해가 더 크다고 판단해 조합이 공사비 인상 요구를 수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건설 공사비도 오르면서, 시공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조합들이 1000만원대 공사비를 제시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모습. 성동훈 기자

21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신반포22차 재건축 조합은 지난 16일 시공사 현대엔지니어링과 공사비를 3.3㎡당 1300만원으로 올리는 계약을 체결했다. 역대 최고가인 서초구 방배삼호 12·13동 가로주택정비사업 공사비(3.3㎡당 1153만원)를 웃도는 가격이다.

신반포22차 재건축은 잠원동 65-33 일대에 1동짜리 아파트를 지하3층~지상 최고35층짜리 2개동으로 새로 짓는 사업이다. 가구수는 132가구에서 160가구로 늘어난다. 단지 규모는 작은 편이지만, 3호선 잠원역에서 불과 200m 떨어진 역세권 단지라 사업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조합은 2017년 현대엔지니어링을 시공사로 선정하며 3.3㎡당 569만원에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7년 뒤 현대엔지니어링은 최초 계약금액의 3배를 웃도는 1390만원을 변경 공사비로 제시했다. 코로나19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원자재 값 상승분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지 않는 소규모 재건축 단지라 원가 절감이 어려웠던데다 기존 브랜드를 하이엔드 브랜드로 고급화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비용 상승도 불가피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지금과 같은 시장 상황에서 조합이 시공사의 공사비 인상 요구를 거부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간이 흐를수록 공사비가 늘어나는 만큼, 갈등이 장기화되어봤자 조합 입장에선 얻을게 없다는 것이다.

인근 공인중개사 A씨는 “조합원 입장에서는 ‘그래도 사업이 멈추는 것보다는 낫다’고 판단했을 것”이라며 “일반분양이 28가구로 분양가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여기서 얻은 수익으로 분담금 초과분을 어느 정도 충당할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을 것”이라고 했다.

인근에서 소규모 재건축을 추진 중인 신반포18차 337동 조합도 시공사의 공사비 증액 요구로 한 때 내홍을 겪었으나 현재는 변경된 공사비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단지의 평당 공사비는 2019년 9월 계약 당시 660만원에서 958만원으로 3년만에 45%가 늘었다.

이후 전용면적 111㎡를 보유한 조합원이 면적을 줄여 97㎡ 아파트를 받아도, 12억1800만원에 달하는 분담금을 내야한다는 추정치가 나오기도 했다. 놀란 일부 조합원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지만, 조합과 시공사는 변경 공사비가 총회 승인을 거친만큼 사업을 멈출수 없다는 입장이다.

강남권이 아닌 서울 다른 지역에서는 1000만원 이상의 공사비를 먼저 제시하는 조합도 등장했다. 마포구 도화동 마포로 1-10지구 재개발 조합은 지난해 3.3㎡당 930만원에 입찰공고를 냈지만 유찰돼 최근 3.3㎡당 1050만원으로 공사비를 올렸다. 용산구 갈월동 남영동업무지구 제2구역 재개발 조합도 지난 2월 공사비로 3.3㎡당 1070만원을 제시했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연초 공사비 갈등이 있었던 곳들은 800만원 선에서 봉합이 되고 있고, 신규 수주하는 곳들의 공사비는 그보다는 더 올라가는 추세”라며 “공사비 1000만원이 낮은 가격은 결코 아니지만 그만큼 조합들이 고급화를 요구하는 경향도 있어 사업성은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심윤지 기자 sharpsim@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