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별 보고 나가 어두워서야 돌아오는 건설노동자가 조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의 건설노동자 압박에 항의하며 분신한 고 양회동씨의 분향소가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에 차려졌다.
대구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와 정의당, 진보당 등 진보정당은 8일 오후 대구시 중구 2.28기념중앙공원에서 고 양회동씨를 추모하는 분향소를 차리고 윤석열 정부의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정훈 backmin15@hanmail.net]
|
▲ 대구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와 진보정당은 8일 오후 2.28기념중앙공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건설노동자 분신사망과 관련해 윤석열 정부의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
ⓒ 조정훈 |
정부의 건설노동자 압박에 항의하며 분신한 고 양회동씨의 분향소가 대구 2.28기념중앙공원에 차려졌다.
대구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와 정의당, 진보당 등 진보정당은 8일 오후 대구시 중구 2.28기념중앙공원에서 고 양회동씨를 추모하는 분향소를 차리고 윤석열 정부의 사과와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해 집으로 돌아오지 못한 노동자 644명 중 건설노동자들이 341명에 달하지만 윤석열 정부는 건설노조와 건설노동자들을 '건폭', '귀족'이라는 말로 매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안전운임제를 요구하는 화물노동자들을 '기득권', '카르텔', '노동귀족'으로 매도했다"며 "그 '노동귀족'들이 하루 14시간씩, 한 달 340시간씩 일하며 1년에 600명 넘게 도로 위에서 죽어간다는 사실을 윤석열 정권은 무시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건설노동자들의 안전과 고용을 위해 일했던 고 양회동 열사에게 씌워진 죄목은 업무방해 및 공갈이었다"며 "노동3권을 보장한 헌법은 윤석열 정권 앞에서 멈춰섰고 윤석열 정권의 칼날은 가장 많이 죽고 가장 취약한 노동자들에게 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헌법을 멈춘 자리에 윤석열 정권이 강조하는 것은 자유이고 더 많이 일할 자유를 위해 근로기준법(주69시간제) 개악을 추진 중이고 더 적게 받을 자유를 위해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추진 중"이라고 규탄했다.
|
▲ 건설노동자 고 양회동씨를 추모하는 대구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8일 오후 기자회견을 마친 후 마련한 분향소에서 추모하고 있다. |
ⓒ 조정훈 |
황순규 진보당 대구시당 위원장은 "윤석열 정부는 건설노조와 200일 전쟁을 선포하고 경찰 50명 특진까지 내걸었다"며 "국민의 고통을 안기고 있는 전세사기나 보이스피싱 등 바로잡아야 할 불법비리가 많은데 '건폭몰이'가 양회동 동지를 죽였다. 건설노조에 대한 탄압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조승호 건설노조 대구경북건설기계지부 지부장은 "새벽별보고 나가서 밤이 어두워져서야 집으로 돌아오는 건설노동자들을 '건폭'이다, '조폭'이다 하면서 아무말대잔치를 하는 윤석열 정부를 규탄한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한 해 500여 명이 과로사하는 한국사회에서 윤석열 정권의 폭주는 더 큰 비극을 초래할 것"이라며 "윤석열 정권의 퇴행을 멈춰 세우기 위한 싸움을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동탄압 중단과 책임자 처벌, 구속노동자 석방, 윤석열 대통령의 사과를 촉구했다.
한편 노동시민사회단체는 분신사망한 양회동 노동자의 분향소를 2.28기념중앙공원 입구에 차리고 오는 21일까지 시민들의 분향을 받기로 했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첫째도, 둘째도 경제" 올인했지만... 전망은 거듭 후퇴
- "워킹맘이 죄인인가" 어버이날 떠오른 그 사연... 명복을 빕니다
- 한국의 굴욕외교는 이렇게 계속 이어졌다
- 국왕 대관식 옆 '리퍼블릭' 체포... 누구 결정이었을까
- 50여년 동안 세 번 바뀐 엄마의 도시락
- 정신질환자가 생각하는 가족은 이렇습니다
- 들어본 적 없는 이야기? '성+인물' 전제부터 틀렸다
- "윤석열 1년, 나라빚 대폭 줄여" 자화자찬...가계빚은 '세계 1위'
- 3D프린터 사용 교사들 희귀암 발병, '공무상 재해' 아니다?
- 국방부 "군 조직 마약 유입은 치명적... 마약범죄, 구속수사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