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전문가 55명이 뽑은 文정부 최악의 정책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9명은 문재인 정부의 주택정책이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임대차 3법'은 다수 전문가들이 뽑은 미흡했던 정책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부동산학회와 함께 학회 소속 부동산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차기 정부 주택정책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92.8%가 지난 5년간 시행한 주택정책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대차 3법' 24.2%로 가장 많아
[더팩트|윤정원 기자] 부동산 전문가 10명 중 9명은 문재인 정부의 주택정책이 미흡했다고 평가했다. '임대차 3법'은 다수 전문가들이 뽑은 미흡했던 정책 1위에 이름을 올렸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한국부동산학회와 함께 학회 소속 부동산 전문가 55명을 대상으로 '차기 정부 주택정책 관련 전문가 의견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 92.8%가 지난 5년간 시행한 주택정책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잘했다는 응답 비율은 3.6%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가장 미흡했던 주택 정책으로 △전월세 상한제 등 임대차 3법(24.2%) △재건축·재개발 규제 강화(21.1%) △다주택자 양도세 강화(18.9%) 등을 꼽았다. △부동산 대출 규제 강화(10.5%) △주택 보유세 인상(9.5%) △임대 사업자 규제 강화(6.3%) 등이 뒤를 이었다.
집값 급등의 요인으로는 전문가 49.1%가 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주택정책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저금리와 풍부한 유동자금(29.1%) △주거 선호지역 공급 부족(14.5%) △투기 수요에 따른 가수요 발생(5.5%) 등의 순이었다.
윤석열 정부가 주택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가장 시급하게 실시해야 하는 주택 정책을 묻자 △재건축·재개발 규제 완화(25.7%) △공공 주택 확대(20.8%) △다주택자 양도세 한시적 완화(20.8%) △주택 보유세 인하(10.9%) △임대 사업자 제도 정비(9.9%) △부동산 담보대출 확대(5.9%) 등을 이야기했다.
주택가격 안정화 시기를 묻는 말에는 전문가 58.2%가 2년 이후라고 전망했다. 올해 서울 집값의 매매가격이 지난해 대비 상승할 것으로 예측한 전문가는 전체의 61.8%에 달했다. 반면 하락을 전망한 비율은 34.6%였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차기 정부는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 주택시장을 정상화하고, 공공투자를 통해 서민을 위한 주거복지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고 말했다.
garde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평 계곡살인' 이은해, 결혼만 3번? 과거 결혼 사진 퍼져…범행 일체는 모르쇠
- '법꾸라지·아빠찬스·임대왕'…'조국'까지 소환한 민주당
- "회전 카메라에 S펜까지?"…'갤럭시Z폴드·플립4' 어떻게 바뀌나
- 영업 시간제한 해제 첫날…자영업자들 기대 반 걱정 반
- 양현석, 콘서트→공판 출석까지…연이은 '노마스크' 구설
- 국민의힘·국민의당, 합당…통합체제 속 불협화음 가능성
- 민주당, 경기지사 후보 기존 경선룰 확정…노영민 단수 공천
- 대한항공, 미주 취항 50주년…수송인원 69배 늘었다
- [이슈현장] 춤까지? 경이로운 아미!…후끈했던 BTS의 라스베이거스(영상)
- 현대차 '스타리아 라운지' 4000만 원대 캠핑카 버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