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1~2인가구 주거안정 위해 '도시형생활주택' 규제 없앤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 정부에서 1~2인 가구를 위한 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도시형생활주택(도생)과 관련한 규제 개선을 추진한다.
야권 관계자는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도생을 더 이상 규제할 이유가 없다. 도생 관련 규제는 완전히 완화하는 방향이 맞다"며 "주택 수 산정에서 제외하는 방안이 거론된다"고 전했다.
임대주택시장에서는 늘고 있는 1~2인 가구를 위한 민간임대 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도생에 대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생 소유한 다주택자 세금 부담 줄어들어
민간임대 주택 공급 늘어 시장 안정화 기여
文정부서도 전용 60㎡확대 등 완화 기조
[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새 정부에서 1~2인 가구를 위한 임대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도시형생활주택(도생)과 관련한 규제 개선을 추진한다.
야권 관계자는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도생을 더 이상 규제할 이유가 없다. 도생 관련 규제는 완전히 완화하는 방향이 맞다”며 “주택 수 산정에서 제외하는 방안이 거론된다”고 전했다.
도생은 서민과 1~2인 가구의 주거 안정화를 위해 2009년 정부가 도입한 주택유형이다. 300가구 미만으로 구성된 주택으로 원룸형 주택, 단지형연립주택, 단지형 다세대주택으로 나눠져 있다. 하지만 주택 수에 포함돼 도생 외 본인 집을 소유한 소유주는 다주택자로 분류, 청약과 세제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했다. 특히 현 정부가 다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를 중과하면서 부담이 더욱 커졌다.
임대주택시장에서는 늘고 있는 1~2인 가구를 위한 민간임대 주택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도생에 대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실제로 현 정부에서도 도생 규제를 일부 완화해왔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달부터 도생 면적 상한을 전용 60㎡로 확대해 일반 아파트와 같이 3~4인 가구도 거주할 수 있도록 침실3개로 구성할 수 있도록 했다. 그전까지는 도생의 경우 원룸형으로 50㎡ 이하의 좁은 면적과 공간구성(침실1+거실1)으로 2~3인가구가 살기에 불편하다는 평을 받았고, 업계에서도 건축규제를 풀어달라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해왔다.
하지만 건축규제 완화 정도로는 공급 효과가 부족하다는 게 인수위 측의 판단이다. 보다 획기적으로 공급 효과를 내려는 방편으로 주택 수 산정 제외 방안이 나온 것이다.
부동산시장에서는 도생을 주택 수 산정에서 제외하면 임대차시장이 활성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도생을 주택 수 산정에서 제외해 다주택자의 세 부담이 낮아진다면 임대주택 공급이 늘어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공급량이 많아지면 결과적으로 세입자로서도 임대료 교섭력이 높아져 임대차시장 안정화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강신우 (yeswhy@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영상)황급히 진주반지 감춘 김정숙, '옷값 논란' 미리 짐작했나
- "北ICBM 실패에 평양주민 머리 위로 미사일 파편비 떨어져"(종합2)
- 가세연 강용석 "배신자 유승민 정치생명 끊겠다"…경기지사 출마 의지
- 40명 죽인 러시아 女저격수…"동료들에 버려졌다"
- 우크라 한국 의용군 위치 노출한 KBS...논란 부추긴 해명
- 김정숙 여사 옷값 논란 반박한 청와대 "사비로 부담"
- 허구연 KBO 총재, 취임식부터 쓴소리..."징계 강화하고 팬서비스 높여야"
- 우크라 '히어로' 꿈꿨지만…복면 쓴 한국인들 "절대 오지마라"
- 홍의락 "시궁창된 대구 정치판…홍준표는 두더지, 김재원은 날파리"
- 주담대 금리 6% 시대 열렸다..7% 돌파도 시간문제(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