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스텔도 똘똘한 한채".. 서울 3분기 고가 오피스텔 매매량 역대 최대
아파트를 겨냥한 정부의 규제가 계속되면서 틈새상품인 오피스텔로 수요가 몰리는 가운데, 오피스텔에서도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수요가 늘어나는 모양새다. 올 3분기 서울지역에서는 9억원을 넘는 고가 오피스텔 매매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신고가를 경신한 오피스텔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3분기(7~9월)에 서울지역에서 거래된 9억원 이상 고가 오피스텔은 총 122건으로, 실거래가 집계를 시작한 200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종전 최고치였던 작년 3분기(115건)와 비교해 6.1% 늘어난 수치다. 분기별 고가 오피스텔 매매량은 2009년 전까지만해도 평균 10건을 넘지 못했지만, 이후 거래량이 꾸준히 증가하다가 작년 3분기에 처음으로 100건을 넘어섰다.
신고가를 기록한 오피스텔도 여럿 나오고 있다. 영등포구 여의도동 ‘S-TRENUE’ 108.88㎡는 25층 호실이 지난 6월 16억원에 거래되면서 4월에 기록한 동일 면적 종전 최고가인 13억원(7층)을 갈아치웠다. 108.88㎡의 경우 18층 호실이 2014년 4월 12억원에 팔리면서 최고가를 기록한 후 신고가가 나오지 않다가 올들어 2번이나 신고가를 기록했다.
지난 9월 28일에 거래된 양천구 목동 ‘목동파라곤’ 95.24㎡(28층)는 17억5000만원에 거래돼 동일 면적 최고가를 경신했다. 같은 달 16일에 기록한 신고가 17억1700만원(16층)을 2주만에 갈아치웠다. 작년 7월의 경우 동일면적 24층 호실이 14억7000만원에 거래된 바 있는 것을 감안하면 1년 2개월만에 3억2000만원이 올랐다.
고가 오피스텔로도 수요가 몰리는 것은 아파트에 대한 대출규제가 강화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해 ‘12·16 부동산대책’을 발표하면서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에 대해 주택담보대출을 전면 금지하고, 9억원을 넘는 주택에 대해서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을 20%로 낮췄다. 지난달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방안에서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강화하고 대출 초기부터 원금을 분할 상환하도록 하면서 대출규제를 더욱 강화했다.
반면 오피스텔 중도금 대출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됐다.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수로 포함시키는 등 일부 규제를 강화했지만, 최근 강화된 DSR 규제에서도 오피스텔 중도금 대출은 제외됐다. 실수요자들의 피해를 줄이겠다는 취지에서다. 특히 최근 분양되는 오피스텔은 시행사(또는 시공사) 자체 보증 방식으로 중도금을 무이자로 빌려주는 곳이 많아 아파트에 비해 대출이 덜 까다롭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아 시설·서비스 고급화 바람이 불고 있다는 점도 수요자의 관심을 끄는 요인이다. 최근들어 아파트와 평면구조가 비슷하면서도 호텔식 욕실에 테라스, 다락까지 다양한 특화설계를 갖춘 오피스텔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청소·세차·세탁 등 호텔식 컨시어지 서비스를 갖춘 곳도 늘어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오피스텔 인기가 높아지다 보니 기존 오피스텔 가격까지 동반 상승하는 상황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아파트 가격이 워낙 많이 오르면서, 커뮤니티 시설이 약한 단점이 있더라도 주거를 대체할 수 있는 오피스텔로 수요가 몰리는 것”이라면서 “아파트 인근에 있는 오피스텔의 경우 놀이터나 공원 등 외부 인프라도 함께 공유할 수 있어 단점을 만회할 수 있다”고 했다.
고준석 동국대학교 법무대학원 겸임교수는 “투자자 입장에서는 아파트와 달리 대출이 가능하고 100실 미만의 경우 전매제한이 없기 때문에 오피스텔을 구입하려고 한다”면서 “강화된 정부 규제가 지속되는 만큼, 오피스텔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도 제한’에 비상 걸린 목동 재건축…“고도기준 강화 안 돼…김포공항 이전해야”
- 韓 부품업계 어쩌나… 현대차 ‘美 현지 공급망 구축’에 타격 불가피
- 도요타와 가격 같아진 현대차… “관세 15%로 못 낮추면 美서 경쟁 어려워"
- 삼성전자·네이버·현대차 제쳤다… SK하이닉스, 대학생 선호 직장 첫 1위
- [재테크 레시피] 1억원까지 안전한 3%대 정기예금? 저축은행에는 있다
- 신형으로 개량된 ‘한국형 패트리엇’ 천궁Ⅱ 첫 배치
- [Why] 점점 낮아지는 소주 알코올 도수… ‘사실상 가격 인상’ 비판 이유는
- 그룹은 보수적인 이미지 지켜왔는데… 삼성자산운용, 과장광고 논란
- [100세 과학] 50세 전후로 노화 속도 빨라진다
- IBK證 “세진重, HD현대重 군산조선소 ‘MRO 기지’ 되면 수혜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