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부동산 매매 반토막 났는데..공시가 폭등·공급 대책이 변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사상 최대 건수를 기록한 부동산 매매 거래가 올 들어 하락세다.
특히 2월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을 기록했다.
16일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2월 전국 부동산 매매 거래량은 전년 동월 17만 2,000건보다 54.7% 줄어든 7만 8,000건을 기록했다.
2월 아파트 매매 거래는 전월(59만 건) 대비 55.1%, 전년 동월(8만 3,000건) 대비 68.3% 감소한 2만 6,000건에 그쳤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파트는 2.6만건으로 68% 뚝
눈치보기 장세 더 치열해질 듯
지난해 사상 최대 건수를 기록한 부동산 매매 거래가 올 들어 하락세다. 특히 2월 거래량은 전년 동기 대비 반토막을 기록했다. 공시 가격 폭등과 공급 정책 동력 상실이 주택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다.
16일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2월 전국 부동산 매매 거래량은 전년 동월 17만 2,000건보다 54.7% 줄어든 7만 8,000건을 기록했다. 1월 15만 2,000건에 비해서도 48.9% 줄었다. 부동산 매매 거래는 지난해 8월부터 꾸준히 상승했지만 올 들어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의 매매 거래가 가장 많이 줄었다. 2월 아파트 매매 거래는 전월(59만 건) 대비 55.1%, 전년 동월(8만 3,000건) 대비 68.3% 감소한 2만 6,000건에 그쳤다. 이는 2018년 9·13대책 이후 거래량이 급감했던 2019년 2월 아파트 매매 거래량과 유사한 수준이다. 전월세 거래도 주춤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에서 집계한 전월세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올 2월 전국 주택 및 오피스텔 전월세 거래량은 7만 1000건으로, 전월 대비 33.8% 감소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56.1% 줄었다.
시장에서는 신도시 투기 의혹으로 공급계획이 무산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다시 ‘패닉 바잉’이 재연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반대로 껑충 뛴 공시가격으로 급매물이 대거 출하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상태다. 하반기 금리 인상도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미칠 변수다.
임하나 부동산플래닛 빅데이터랩장은 “금리 인상 가능성이 부동산 시장에 심리적 부담을 주고 있는 가운데 각종 세금 부담 강화에다 신도시 투기 의혹 등 여러 변수가 혼재돼 있다”고 말했다. 일단 시장에서는 매도자와 매수자 간 눈치 보기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양지윤 기자 ya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文대통령, LH 사태 첫 사과...'성실한 국민께 실망드려'(종합)
- '기성용 성폭행 하나하나 묘사할 수도'…의혹 폭로자 측 변호사, 'PD수첩' 나온다
- 또 답변 피한 유은혜, '조민 의전원 입학 취소는 부산대 조치 보고 판단'
- '6억 변품아'도 공시가 폭탄…변창흠, 종부세 낸다
- [영상] 호랑이 기운을 충전하다…기아 첫 전용 전기차 'EV6'
- 장병 '빡빡머리' 사라질까…軍, 두발규정 완화 저울질
- “암호화폐 거래·보유하면 벌금” 초강수 둔 인도
- 공시가 19% 폭등…세금만 올린 부동산 실정
- '구미 바꿔치기 한 아이는 살아있을 수도'…이수정, 판단의 이유는?
- 콩나물 더 짧아졌다…'에어팟 3세대' 유출 사진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