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차법 시행 두달 지났지만 수도권 전세시장 불안 여전

이동희 기자 2020. 10. 4. 14: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6주째 상승했다.

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9% 올랐다.

수도권 전체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5%로 나타나 60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세시장 불안이 이어지는 주된 이유는 전세 품귀 현상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 66주째 ↑..수도권 전체 전셋값도 60주째 상승
"새 아파트서도 전세 물량 찾기 힘들어..전세의 월세 전환 가속화"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2020.9.4/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이동희 기자 =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6주째 상승했다. 임대차법 시행 두 달이 지났지만, 전세시장은 여전히 불안한 모습이다.

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9% 올랐다. 상승세는 66주째며, 상승폭도 1주 전(0.08%)보다 소폭 확대됐다.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를 비롯해 서울 주요 지역 대부분이 상승폭을 키웠다. 강남구가 0.09%에서 0.12%로, 서초구도 0.07%에서 0.09%로 오름폭이 커졌다. 송파구 역시 1주 전보다 0.01%포인트(p) 높아진 0.13%로 나타났다. 노원구(0.07%→0.14%), 동작구(0.08%→0.12%) 등도 상승폭이 확대했다.

인천과 경기는 각각 0.12%, 0.19%를 기록했다. 인천은 중구(0.56%)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경기는 광명 0.46%, 고양 덕양구 0.29%, 안산 단원구 0.37% 등을 기록했다.

서울 송파구 아파트단지 밀집지역에 위치한 부동산. 2020.9.22/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수도권 전체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0.15%로 나타나 60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세시장 불안이 이어지는 주된 이유는 전세 품귀 현상 때문이다. 임대차법 시행과 가을 이사철 등 계절적 영향으로 전세 물건 부족 현상이 계속되는 것.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수도권 전세 물량은 두 달 전보다 71.5% 감소한 2만515건에 불과하다.

김규정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은 "새 주택에서도 대출·청약 규제로 실거주 요건을 채워야 해 전세 물건이 안 나온다"며 "전세의 반전세·월세 전환도 많아서 온전한 전세 찾는 것이 어려운 가운데 새로 나오는 깨끗한 전세 물건 찾기는 더욱더 힘든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0.07%를 기록, 1주 전과 같았다. 서울 역시 전주와 같은 0.01%를 기록, 6주째 동일한 상승폭을 기록했다.

서울은 서초·송파구의 보합이 8주째 이어지고 있으며, 강남구도 0.01%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하락을 기록한 지역은 없으며 모든 곳이 0.00~0.02%를 기록했다.

인천과 경기는 각각 0.06%, 0.1% 상승했다. 지방은 세종 0.42%, 대구 0.26%, 대전 0.25%, 부산 0.18% 등을 기록했다. 전국 시도 가운데 아파트값이 하락한 곳은 제주(-0.01%)가 유일했다.

yagoojo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