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한 전셋집' 서울 아파트 전셋값 63주 연속 올라..매맷값도 상승폭 유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3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인천 아파트 전셋값은 0.14% 올라 전주(0.13%)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울산은 0.17% 올라 전주(0.14%)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급등한 매도호가에 매수세가 주춤해지며 상승폭이 6주 연속 축소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63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매매가격도 여전히 상승세를 유지했다.
한국감정원은 지난 7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0.09% 올라 전주와 같은 변동률을 나타냈다고 10일 밝혔다. 임대차 2법(전월세상한제·계약갱신청구권제) 시행과 실거주요건 강화 등으로 매물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게 감정원의 분석이다. 올 들어 누적 상승률은 2.54%다.
강동·마포구(0.15%), 송파구(0.13%), 강남·성북구(0.12%), 서초·중랑구(0.10%)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인천 아파트 전셋값은 0.14% 올라 전주(0.13%)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연수구(0.37%)의 송도·동춘동 신축 위주로 전세가격이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경기 역시 0.21% 올라 전주와 같은 상승률을 보였다. 용인 기흥구(0.45%), 수원 권선구(0.45%), 광명시(0.43%) 등에서 오름세가 계속됐다.
최근 높은 상승률을 보였던 세종의 전세가격은 이번주 0.87% 올랐으나, 전주(1.06%) 상승폭에는 못 미쳤다. 전반적으로 매물부족 현상은 계속되나, 6생활권의 대규모 입주(마스터힐스·3000여가구)가 다가옴에 따라 상승폭이 축소됐다는 해석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0.01% 올랐다. 3주 연속 동일한 상승률이다. 7·10 부동산 대책과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경기위축 우려 등으로 관망세가 확대되고 있지만, 저평가된 단지나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에선 오름세가 나타났다.
강남·강동구는 5주 연속 0.01% 상승했다. 서초·송파는 이 기간 보합세를 유지했다. 마포·용산·서대문구 등이 0.02% 올랐고, 도봉구는 방학·쌍문동에서 호가가 떨어지며 보합 전환했다.
인천·경기 아파트값은 각각 0.04%, 0.09% 올랐다. 울산은 0.17% 올라 전주(0.14%)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행정수도 이전 호재로 한때 2%대 주간 상승률을 보였던 세종은 0.47% 올랐다. 급등한 매도호가에 매수세가 주춤해지며 상승폭이 6주 연속 축소되고 있다.
y2k@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따상! 우째 이런 일이 ㅠㅠ” 로또 주식 헐값에 판 카카오 공화국 대표! [IT선빵!]
- 한국인 코로나 걱정 ‘톱’…확진자 쏟아진 유럽은 “기후변화 더 위협”
- 추석선물도 '카톡 홀릭'…10만원 이상 고가 선물도 "까톡 선물왔어요"
- 우상호 ,‘카투사=편한 군대’ 논란에 결국 사과…“카투사 장병 헌신에 늘 감사”
- 주호영 “秋아들 결정적 제보있다…文 결단해야”
- 웃돈만 6억원…입주권 ‘금값’된 이유[부동산360]
- 김태년, ‘秋 아들 논란’ “검증되지 않은 의혹, 논란 커지는 것 바람직하지 않아”
- 추미애 아들 사건 부실수사 논란…‘진술 누락’ 놓고 평가 엇갈려
- 김부선, 이재명에 공개질의…“난 미혼모·실업자인데 재난지원금 주나”
- 野 개천절집회 만류 총력…김종인 “집회 미뤄달라”·안철수 “취소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