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전셋값 5억 돌파, 한달새 1000만원 '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처음 5억원을 돌파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KB국민은행이 26일 발표한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1,011만원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강남 지역(한강 이남 11개 자치구)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1년 사이 10.2%(5,503만 원) 올라 8.9%(3,357만 원) 상승한 강북 지역(한강 이북 14개구)보다 높게 형성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처음 5억원을 돌파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새 임대차법(계약갱신청구권ㆍ전월세상한제) 시행 전후로 전세가격이 크게 요동친 결과로 풀이된다. 서울의 아파트 매매 가격도 평균 10억원에 육박했다.
KB국민은행이 26일 발표한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5억1,011만원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최고가를 기록했다. 전달(4억9,922만원)과 비교하면 한 달 사이 1,000만원 넘게 오른 가격이다.
서울 전세가격은 최근 1년간 오름폭이 컸다. 4억6,541만원이던 1년 전에 비해 4,470만원(9.6%)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 2018년 8월(4억5,583만원)과 비교한 상승률은 11.9%였다. KB부동산은 "임대차 2법 시행 전부터 오름세가 시작되며 전세가와 매매가가 동반 상승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강남 지역(한강 이남 11개 자치구)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이 1년 사이 10.2%(5,503만 원) 올라 8.9%(3,357만 원) 상승한 강북 지역(한강 이북 14개구)보다 높게 형성됐다.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9억8,503만원으로 10억원에 가까워졌다. 이 또한 사상 최고 가격이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억5,330만원(18.4%) 올랐고, 2년 전보다는 2억3,525만원(31.4%) 치솟아 매매가의 상승세가 전셋값보다 더 가팔랐다.
강남 지역(11개구) 평균 아파트값이 1년 사이 16.9%(1억7,084만원) 상승했고, 강북 지역(14개구)은 21.5%(1억3,493만원) 뛰었다.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더 오른 전셋값과 달리 매매가격은 강북 지역이 더 가파른 오름세를 기록한 것이다.
이달 서울 부동산 전세가격 전망지수도 140.2로 통계가 공개된 2016년 1월 이후 가장 높았다. 0∼200 범위에서 표현되는 이 지수는 100을 넘기면 ‘상승 전망이 강함’을 뜻한다. 향후 서울의 아파트 전셋값이 계속 가파르게 오를 것이라는 의미다.
반면 매매가격 전망지수는 118.7로 지난달(120.3)과 비교해 하락했다. 100보다 높아 매매 가격이 내려간다는 뜻은 아니지만, 상승세는 다소 진정될 것이란 관측이다.
유환구 기자 redsu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적표 믿고 산 망사 마스크, 비말 아닌 '먼지 차단' 시험이었다?
- 서민 "기생충보다 못한 정부…코로나와 싸우는 의사 공격"
- "제자가 진료보다 중요"…시험거부 의대생 두둔한 서울의대 학장
- 정부는 서명식 준비했지만 …의협 "합의문 만든 적 없다"
- 덩치 키운 태풍 '바비'…서울 출근길이 위험하다
- [팩트파인더] "대한민국 셧다운? 가짜뉴스에 낚였군요!"
- "감히 누구한테 검사 받으래" 당신, 그러다 '감방' 갑니다
- 조국, '정경심 도피지시' 보도 언론사 상대 소송..."명예훼손"
- 망사 마스크 ‘뭇매’ 김미애 의원 “잘 알려줬어야” 식약처장 질타
- '휴진합니다' 쪽지 한 장... 총파업에 진료허탕ㆍ수술연기로 발동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