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구 7억, 매매 아니고 전세" 서울 외곽 전세시장도 '비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세 물건 자체가 많지 않은 데다 턱없이 오른 가격 때문이다.
학군 수요가 집중된 강남권은 물론 상대적으로 저렴한 서울 외곽지역과 인접지역도 심각한 전세난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값이 치솟으면서 서울에서는 외곽지역 조차 84㎡ 아파트 전세 가격이 5억원을 넘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21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8만5821건으로 6ㆍ17 대책 직후인 두 달 전(15만1908건)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외곽서도 84㎡ 5억~7억대 실거래
재개발·재건축 이주 겹친 광명
철산동 17개 단지 전세매물 6건
[아시아경제 김유리 기자, 임온유 기자] #전세 2억원에 서울 상계동의 소형 아파트에 살고 있는 공무원 A씨는 주변 전세를 알아보다 좀 더 넓은 집으로 옮기려던 계획을 포기했다. 전세 물건 자체가 많지 않은 데다 턱없이 오른 가격 때문이다. 그는 "인근 신축 전세는 현재 전셋값의 두 배를 훌쩍 넘어 엄두가 나지 않는다"고 했다. 인근 새 아파트인 F단지 84㎡(전용면적)의 경우 전세 시세가 최고 7억원에 달한다.
정부가 쏟아낸 각종 대책에 새 주택임대차보호법 시행까지 더해지면서 서울 전세난이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학군 수요가 집중된 강남권은 물론 상대적으로 저렴한 서울 외곽지역과 인접지역도 심각한 전세난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세입자 보호를 명목으로 도입한 전ㆍ월세상한제, 계약갱신청구권제 등이 오히려 서민 주거안정을 흔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금천구 7억, 매매 아니고 전세" 서울 외곽도 전세가 ↑
21일 일선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서울 외곽의 노도강(노원ㆍ도봉ㆍ강북구), 금관구(금천ㆍ관악ㆍ구로구) 등에서도 전세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다. 지난달 27일 서울 금천구 시흥동 남서울힐스테이트 84㎡는 7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직전 최고가가 5억원대였는데 6억원대를 거치지 않고 7억원대로 직행한 것이다. 시흥동 B공인중개사사무소(공인) 관계자는 "1700여가구 중 전세 매물이 10개도 안 돼 부르는 게 값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구축(오래된 집) 상황 역시 비슷하다. 구로구 신도림동 동아1차 84㎡는 11일 6억5000만원 신고가에 전세가 거래됐다. 직전 최고가는 올 3월 5억8500만원이다. 1년 전(5억원)과 비교하면 1억5000만원이 뛰었다.
값이 치솟으면서 서울에서는 외곽지역 조차 84㎡ 아파트 전세 가격이 5억원을 넘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 6일 노원구 상계동 중계센트럴파크 84㎡는 신고가인 5억5000만원에 거래됐고, 인근 비콘드림힐 3차 84㎡ 역시 지난 17일 처음으로 5억원대에 진입했다. 이 외에도 강북구 미아동 래미안트리베라1차 84㎡가 지난달 28일 5억5000만원, 구로구 고척동 고척파크푸르지오가 지난달 23일 5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매물 줄고 값 뛰고… "세입자 위한 대책 맞나"
전세가격 상승세는 서울 전역에서 나타나고 있다.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한 주간 0.38% 올랐다. 전주(0.41%)와 비교하면 상승폭은 줄었지만 25개 자치구 중 하락세를 보인 곳은 전무했다. 상승률 상위지역도 강서구(0.80%), 송파구(0.78%), 은평구(0.66%), 강북구(0.65%), 노원구(0.50%)로, 대부분 서울 외곽지역들이다.
물량도 크게 줄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21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8만5821건으로 6ㆍ17 대책 직후인 두 달 전(15만1908건)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물량 감소 역시 외곽지역인 은평구(-58.6%), 중랑구(-50.5%), 도봉구(-47.2%), 강서구(-44.5%) 등에서도 뚜렷했다.
서울 접근성이 높은 경기 지역에서도 역시 전세 품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특히 광명시의 경우 대규모 재개발ㆍ재건축 이주수요까지 더해지며 아예 전세 매물이 씨가 말랐다. 네이버부동산과 인근 중개업소 설명을 종합하면 철산동 일대 17개 단지에 나와 있는 전세 매물은 6건에 불과하다. 광명1구역 조합원인 C씨는 "뒤늦게 이주를 준비하는 조합원들은 인근에 전세 매물이 없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이 같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임대차보호법 등이 전ㆍ월세 매물 총량을 줄이고 있는 데다 아파트 매입 임대사업자 제도 폐지, 주택담보대출 시 6개월 내 실입주, 1주택자 장기보유특별공제의 실거주 요건 강화 등도 전세 매물의 신규 공급을 줄일 것"으로 우려했다.
김유리 기자 yr61@asiae.co.kr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덥수룩한 수염, 변기보다 더럽다며 피했는데…전문가들의 반전 답변 - 아시아경제
- 중국 쇼핑몰서 난데없는 '전두환 티셔츠'…서경덕 "아픈 역사를" 개탄 - 아시아경제
- "그냥 가입 안 할게요" 1시간 설문에 녹취까지…잡음 끊임없는 금소법[금융혁신:성장을 설계하다
- "사실은 출국 18~29일 전이 제일 싸요"…초고수들만 아는 항공권 구매 '꿀팁'[주머니톡] - 아시아경
- 병원 가려던 주민도 '화들짝' 놀랐다…갑자기 관광객 늘어난 곳 - 아시아경제
- '尹 변호' 김계리, 국힘 입당 제동에 "가족되신 것 환영한다더니" - 아시아경제
- "어느새 스르르 잠들어…중독적이다" 폭락하던 식당 매출, '이것' 하나로 대반전 - 아시아경제
- 밥 안 먹는 5살 아이 머리 식판에 짓누른 보육교사…법원 "선고유예" - 아시아경제
- "숨막혀서 못 살겠다"…머스크 데이터센터에 뿔난 주민들 결국 - 아시아경제
- "당이 잘못했다" 이준석에 사과한 김문수[대선판 흔든 이 한마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