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전환율 2.5% 인하' 소급적용 않기로..월세→전세 땐 적용 안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전월세전환율을 기존 4%에서 2.5%로 1.5%포인트 전격 인하하면서 임대차 시장에서는 적용 범위와 대응 방안 등을 두고 혼란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월차임 전환율(전월세 전환율)이 변경된 이후 금리, 임대차 시장 등이 크게 변화돼 전환율 개정이 필요하다고 참석자 모두 공감했다"며 "임차인과 임대인 양측을 균형되게 고려하고 월세로 전환하더라도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지 않는 수준 등을 감안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19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제3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 같은 임대차 안정화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임대차3법 시행 후 전세 수익 악화를 우려한 집주인들이 기존 전세 계약을 월세나 반전세로 전환하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를 차단하기 위해 이 같은 대책을 내놨다. 정부 관계자는 “월차임 전환율(전월세 전환율)이 변경된 이후 금리, 임대차 시장 등이 크게 변화돼 전환율 개정이 필요하다고 참석자 모두 공감했다”며 “임차인과 임대인 양측을 균형되게 고려하고 월세로 전환하더라도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지 않는 수준 등을 감안했다”고 밝혔다.
처벌 규정이 따로 없어 ‘권고’ 수준에 그칠 것이란 시장의 일부 우려에 대해서도 ‘강제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전환율 이상으로 월세를 받는 경우 해당 계약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것”이라며 “만약 전환율 이상 금액으로 계약을 체결했더라도 세입자는 전환율에 따른 월세 이상을 낼 필요가 없다. 이미 냈다면 이후 월세를 적게 내는 식으로 대응하면 된다”고 했다. 그렇게 해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는 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거나 민사소송을 진행하는 방법도 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적용 범위에 대한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용 대상은 10월 제도 시행 이후 체결된 계약부터로 하고, 소급 적용은 하지 않기로 했다.
다만 시장에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조치로 전월세 매물이 크게 줄어 전세난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전월세상한제에 따라 전셋값 인상 폭 제한을 받게 된 집주인들이 월세 전환까지 어려워질 경우 세입자를 내보내고 직접 들어가 살거나 빈 집으로 두는 경우가 늘어나면 시장에 매물 자체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한 전문가는 “규제에 따른 부작용을 땜질 처방하는 식으로 계속 이어가다 보니 시장의 불안만 키우는 꼴”이라고 지적했다./진동영기자 ji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민정, '사랑제일교회' 코로나 폭증 일파만파에 '불법 폭력시위…법적 대응해야'
- TV 벗어난 한혜진 몸매는 이정도…각선미에 '시선집중'
- 통합당 '국민 이간질' 김원웅 맹폭에 최강욱 '흥분하는 '토착왜구' 비판의 근거'
- 김호중 올 초까지 불법도박설, '퇴출하라' 청원까지 '첩첩산중'
- [단독] 이 와중에…경주서 수백명 '다닥다닥' 장로수련회
- '딸 미인대회 입상시켜줄께' 접근한 50대 여성의 실체 [범죄의재구성]
- CBS 라디오 출연자 확진, 전날 '토론회'한 이낙연 등 민주 당대표 후보들 비상
- '문재인 정권 붕괴 경고' 홍준표 '서민의 꿈은 내 집 갖기…민생파탄에 분노'
- 서동주, 엄마 못지 않은 화사한 미모 '꽃보다 더 예쁜데?'
- '이해찬 일벌백계 주장' 하태경 '박원순 불법 분향소 주도…전광훈도 죄질 나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