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금 일부 받은 세입자도 계약갱신청구권 가능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입자가 나가기로 하고 보증금을 일부 돌려받은 경우에도 갱신청구권을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일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을 포함한 임대차법 도입 이후 세부적용 사례를 문의하는 집주인과 세입자가 부쩍 늘어나면서 문의가 많은 4가지 사례를 모아 설명자료로 내놨다.
-집주인이 매도하려는 목적으로 갱신 거절이 가능한지.
-세입자가 나가기로 하고 보증금 일부를 돌려받은 후에도 갱신청구권이 있는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종=뉴스1) 김희준 기자 = 세입자가 나가기로 하고 보증금을 일부 돌려받은 경우에도 갱신청구권을 요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2일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청구권을 포함한 임대차법 도입 이후 세부적용 사례를 문의하는 집주인과 세입자가 부쩍 늘어나면서 문의가 많은 4가지 사례를 모아 설명자료로 내놨다.
다음은 국토부의 사례별 답변내용.
-갱신 시 임대료 상한 5%의 의미는 1년에 5% 제한인지. 무조건 5%를 올려야 한다는 것인지.
▶갱신 시 임대료 상한은 갱신 시점 기준 임대료(직전 임대료 기준)의 5%가 상한이다. 5% 이내 에서 협의해 정해하라는 것으로 무조건 5%를 올리는 것은 아니다.
-집주인이 매도하려는 목적으로 갱신 거절이 가능한지.
▶불가능하다. 임차인의 갱신요구에 대한 거절은 법률상 갱신 거절 사유에 포함된 경우에만 가능하다. 새 집주인에겐 세입자의 계약이 승계되며 이를 보장해야 한다. 다만 집을 샀을 당시 계약갱신 시점이라면 새 집주인은 실거주를 이유로 갱신요구를 거절할 수 있다.
-세입자가 나가기로 하고 보증금 일부를 돌려받은 후에도 갱신청구권이 있는지.
▶보증금의 일부를 돌려받았다고 하더라고 임차인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면 임대차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기간에 청구가 가능하다. 법률상 임대차기간이 끝난 경우에도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을 때까지는 임대차관계가 존속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집주인이 직접 거주를 이유로 갱신 거절한 후 해당 주택을 공실로 남길 경우 손해배상책임은?
▶공실로 남겨도 손해배상 책임은 없다. 다만 집주인이 직접 거주를 목적으로 임차인의 갱신을 거절했으나 임차인이 요청한 갱신기간 동안 제3자에게 임대를 하는 경우엔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하다.
h9913@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배현진, 김부겸에 "눈을 부라린다?..장관 출신이 격 떨어지게"
- 진중권 "주호영 그놈의 빨갱이 타령..윤희숙이 번 돈 까먹네"
- 'SNS 절필'한다던 박지원 국정원장 "교회간다" 페북 동선공개
- 하필 TK대의원 대회 전날..박범계 "'이상한 억양' 없는 윤희숙"
- 하태경 "이재명, 차라리 美軍에 집합금지명령 내려라"
- 하희라♥최수종, 자신들 꼭 닮은 아들·딸 공개
- 수리 크루즈·케이티 홈즈 마스크 쓴 뉴욕 일상
- 인천 무의도 선착장 여행가방에 '20대男 시신'
- 여친 무릎꿇고 비는 동영상 SNS에 올린 20대
- "효리누나엄마" 광희, 애플망고 선물에 '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