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51% "1~2년 후 아파트 값 회복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문가 절반 이상이 주택 시장 침체가 1~2년 후 회복할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현재 주택시장의 규제가 과도하다는 데 절반 가까운 전문가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이 부동산시장 전문가 151명을 대상으로 주택 시장 전망을 설문 조사한 결과 50.8%가 "향후 1~2년 간 급락 후 점진적인 회복을 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산연 "3년 이상 침체 이어질 가능성도"
전문가 절반 "규제 심하다"
[이데일리 황현규 기자] 전문가 절반 이상이 주택 시장 침체가 1~2년 후 회복할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현재 주택시장의 규제가 과도하다는 데 절반 가까운 전문가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당시를 비교해 볼 때 주택 시장 침체가 최소 3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응답자 18.8%는 “3~5년이상 침체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주산연 연구에 따르면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아파트매매가격은 1년동안 전국적으로 18% 급락했다. 이후 종전수준 까지 회복하는 데 3년이 걸렸다. 2008년 금융 위기 당시에도 서울 아파트값은 5년동안 9%까지 점진적으로 하락하다, 이후 종전수준으로 회복하는데 3년이 소요했다.
특히 무역의존도가 큰 우리나라 경제구조상 국내의 코로나 사태가 조기에 진정된다고 하더라도 해외 상황이 진정될 때까지는 침체국면의 역전이 어려울 것이라는 게 주산연의 설명이다. 주산연은 “코로나19의 영향이 97년 외환위기 이후의 양상을 띨지 아니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의 양상을 보일지 여부는 아직은 불투명하다”면서도 “과감한 선제적 대응이 없으면 시장 상황은 최악으로 갈 수도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산연은 “코로나19 이후 주택 시장 대책은 수십차례의 더듬기식 활성화대책이 아닌 종합적인 정책으로 나와야한다”며 “5월중 1단계로 우선 대책을 시행하고 코로나19와 시장추세를 보아가며 6개월 뒤인 11월쯤 2단계 대책을 과단성 있게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라고 제안했다.
황현규 (hhkyu@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만취해 2억 벤틀리 뻥뻥 걷어찬 20대, 처벌 면한 이유
- "한국 다시 봤다"..일본 누리꾼들 박수친 이유
- '김정은 사망 주장' 장성민 문재인 대통령 입장 밝혀야
- 서유리 "결혼 후 분리불안 증세" 눈물 왈칵
- 김지현, 동생에게 "중·고등학생 아들 둘 있다" 말 못한 사연
- 코로나19 재양성자 263명..2차 전파 사례는 확인안돼
- '가보가' 서유리·최병길 PD 분리불안→최정윤, 남편 부재로 독박육아
- '화양연화' 박진영·전소니, 시선 닿기 1초 전..적극적인 애정 공세
- [정다슬의 글로벌Pick]총알 떨어진 중앙은행, 다음 카드는?
- 코로나19 충격에 얼어붙은 경제, 긴급재난지원금이 온기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