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세대 아파트 매입 줄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택매매 시장에서 큰손 역할을 해 오던 30대와 40대의 아파트 매입 건수가 올해 봄부터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중순 이후 본격화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와 작년 말부터 이어진 정부의 강력한 규제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 같은 30대와 40대의 아파트 매입 감소 원인으로 먼저 코로나19 여파가 꼽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고강도 규제 여파
30대·40대 각각 4000건 감소
"결혼 미루고 부동산 동향 관망"
침체 지속땐 '집포자' 증가 전망
“올해 말 결혼 예정이었는데 (코로나19때문에) 내년으로 미뤘습니다. 집 보러 다니던 것도 일단 중단하고 상황을 보고 있습니다.” (30대 예비신랑 정모 씨)
주택매매 시장에서 큰손 역할을 해 오던 30대와 40대의 아파트 매입 건수가 올해 봄부터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중순 이후 본격화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와 작년 말부터 이어진 정부의 강력한 규제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침체가 장기화할 경우 신혼부부 등을 중심으로 이른바 ‘집포자’가 빠르게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21일 한국감정원의 ‘연령대별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 추이’에 따르면 지난 3월 한 달 동안 30대의 아파트 매입건수 1만7371건으로 전월(2만1106건) 대비 4000건 가까이 감소했다. 전체 거래(2월 8만7642건, 3월 7만9615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월 24.1%에서 3월 21.8%로 2.3%포인트 줄어 들었다.
40대 역시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달 2만989건의 거래량을 기록해 전월(2만4875건) 대비 역시 4000건 가량 줄어들었다. 3월 전체 7만9615건 대비 26.4%의 비중을 차지해 2월(28.4%) 대비 감소했다.
반면 50대와 60대의 경우 2월 대비 3월 거래량은 3040 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폭 줄면서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0.5%포인트(20.6%→21.1%), 0.7%포인트(12.0%→12.7%) 높아졌다. 다른 연령대 역시 2월 대비 비중이 소폭 올라갔다.
물론 작년 같은 시기와 비교하면 절대적인 거래량 자체는 여전히 2배 이상 많았다. ‘역대급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꼽히는 2018년도 9·13 대책 이후 전국적으로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하면서 지난해 3월 전국의 월 아파트 거래량은 3만1760건 수준에 그친 바 있다. 그럼에도 당시 30대와 40대가 전체 아파트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3.3%, 28.0%에 달하며 올해보다 높았다.
서울의 경우 강남3구에서 30대의 매입 비중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지난달 30대의 강남3구 아파트 매입건수는 207건으로 전월(275건) 대비 줄어들었다. 전체 매입 연령대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월 30.2%에서 지난달에서 26%까지 내려갔다.
이 같은 30대와 40대의 아파트 매입 감소 원인으로 먼저 코로나19 여파가 꼽힌다. 당장 실물 경제의 위기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장년층 대비 상대적으로 현금 보유량이 많지 않은 젊은 층들이 우선적으로 주택수요를 줄였다는 것이다. 여기에 주택담보대출비율(LTV) 하향을 비롯한 정부의 대출규제와 주택 매입 자금 출처에 대한 강도 높은 조사도 한 몫으로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계절적 성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여파로 신혼부부들의 주택매입을 미루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4월의 매매량 역시 3월과 비슷한 움직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반면 저금리에서 비롯된 낮은 이자부담은 30대와 40대를 제외한 연령대에서 주택 거래량 급감을 상쇄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사태 종식이 늦어지고 글로벌 경기침체의 우려가 높아질 경우 젊은 세대를 넘어 전 연령대에서 주택시장 이탈이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하면 주택 거래가 위축되고 부동산 시장과 연관 시장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며 “정부가 집값 안정을 도모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부동산 거래에 숨통을 틔워줄 대책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양대근 기자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속보] CNN "김정은 수술 후 중태"..미국 정부관리 인용
- '김정은 건강 이상설' 美정찰기 한반도 상공 감시활동 강화
- 日 코로나19 아랑곳..술집은 여전히 북적북적
- 北, 연일 선거 참패 통합당 조롱 섞인 비난.."갈데 없는 박근혜당"
- 아베 '제국주의 상징' 야스쿠니신사에 공물 봉납
- '공짜'라도 안 산다..국제유가 사상 첫 마이너스
- 이강인·기성용 소속팀, 선수 연봉 18~15% 삭감
- 日 코로나19 사망자 25명 추가..하루 최다
- 이근형 "나경원 '국민밉상'돼 있어..오세훈 가장 어려운 상대"
- 장제원 "황교안, 실패 딛고 돌아오라..우리 진영에 인물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