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주택 살 생각 없어..집값하락 기대심리 반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서울시민은 주택을 구매할 의사가 딱히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주택구입태도지수는 전분기보다 1.9p 하락한 69.5로 조사돼 2분기 째 내림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9·13부동산대책 이후 규제 정책의 영향으로 주택거래가 정체되고 집값 추가 하락을 기대하는 시민이 주택구입을 미루면서 매수심리가 꺾인 것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93.7로 전분기보다 0.7p 하락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올해 서울시민은 주택을 구매할 의사가 딱히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주택구입태도지수는 전분기보다 1.9p 하락한 69.5로 조사돼 2분기 째 내림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구입태도지수가 100을 넘으면 주택 구매를 긍정적으로 본다는 뜻이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다.
서울시는 9·13부동산대책 이후 규제 정책의 영향으로 주택거래가 정체되고 집값 추가 하락을 기대하는 시민이 주택구입을 미루면서 매수심리가 꺾인 것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시민이 체감하는 경기도 어려워졌다. 서울시민의 체감경기를 대표하는 소비자태도지수는 93.7로 전분기보다 0.7p 하락했다. 소비자태도지수는 주로 민생과 직결된 고용지표나 주택구입태도지수 등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자태도지수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현재생활형편지수는 전분기보다 0.4p 하락한 87.0을 기록했다.
미래생활형편지수는 전분기보다 0.3p 하락한 90.8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가계소득 감소, 경기불황, 물가상승, 가계부채 증가 등의 이유로 1년 후 가구 생활형편이 악화될 것으로 보는 가구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서울시는 분석했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회 인준’ 김민석 “폭정 세력이 만든 경제위기 극복이 제1과제”
- 내년 최저임금 합의 또 불발…노사 격차 ‘870원’
- ‘취임30일’ 李대통령 “대출규제는 맛보기…부동산 대책 아직 많아”
- ‘댓글조작 의혹’ 리박스쿨 대표 경찰 소환…“불법 활동 없었다”
- 리버풀, 공식 성명 “조타 사망, 애통하다…가족들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
- 李대통령 “검찰개혁은 자업자득…檢 수사·기소권 분리 추석 전 얼개 가능”
- 노래방 도우미 불러 라이브 방송…서울시 공무원 ‘해임’
- 최저임금 5차 수정안…노동계 1만1140원 vs 경영계 1만130원
- 조국 사면·검찰개혁 제안 쏟아진 야5당 오찬…李대통령 “노동자 실태 파악하라”
- 의정 대화 준비하는 전공의들…‘9월 복귀’ 의견 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