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 무기력증에 행정공백 조짐..오늘 발표 조선 구조조정 맹탕 우려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 28일 긴급 현안점검회의를 열었다. 지방노동청장을 비롯한 전 간부를 급하게 소집했다. 이 장관은 회의에서 “예산 심의가 끝나는 11월 21일부터 법안 심의가 본격 진행된다”고 말했다. 노동개혁을 위한 4개 법안 심의에 대비하라는 뜻이다. 이 장관은 “의원들에게 ‘노동개혁을 다음 정권으로 넘기면 그 정권이 또 부담을 안게 된다’며 연내 처리를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야당은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 데다 여당마저 “현 시국을 수습하는 것이 더 급하다”며 뒷전으로 미루는 분위기여서다.
정부는 31일부터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매일 주요 부처 장관이 참석하는 회의를 열기로 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경제부처 장관이 참여하는 경제현안점검회의를 매주 개최할 예정이다. 이렇게 총리와 장관이 기강 잡기에 나섰지만 효과는 미지수다. 청와대 비서진 쇄신에 이어 현 내각의 교체도 예고돼 있기 때문이다.
소비부터 설비투자, 수출까지 주요 경제지표엔 빨간불이 들어왔다. 과열 경보음이 켜진 부동산 경기는 한국 경제에 부담이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구조조정도 동력을 잃었다”며 “현 정부 상황에서 기업과 채권단이 의사 결정을 내리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짚었다.
전문가들은 그래도 공직사회에서 스스로 중심을 잡는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은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정부는 국제신용평가사 등에 전자우편을 보내 ‘한국 경제 정책은 흔들림이 없다’고 적극적으로 설명했다”며 “경제부처는 비상시국이라 생각하고 이런 대외적 노력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새로운 정책은 내놓지 못하더라도 일상적인 경제 운용에 차질 없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찬·최준호·하남현 기자,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 노건평 구속시킨 최재경···우병우 겨냥 "검찰 망가뜨려"
▶ [단독] "김종인 총리 어떠냐" 얘기에···박 대통령 웃어넘겨
▶ 반경 1.5km에 집·카페·의상실···강남 '최순실 타운' 보니
▶ 전여옥 "최씨 농단 몰랐다는 친박, 스스로 바보란 얘기"
▶ 최순실 기다린 양복 男 4명··· "눈 피하러 전문가 도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