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카페]3일만에 오락가락.. 부동산정책 혼란만 부른 경제사령탑
|
손영일·경제부 |
최근 만난 민간연구소의 한 연구원은 주요 경제현안에 대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불명확한 메시지가 시장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책연구기관과 다른 정부 부처, 심지어 기재부 일각에서도 비슷한 불만이 나온다.
이런 반응은 유 부총리가 자초한 측면이 크다. 부동산 대책이 대표적이다. 유 부총리는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적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이 나타난다면 투기과열지구 지정을 포함해 살펴봐야겠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서울 강남권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하라는 요구에는 “당분간 부동산 가격이 엄청나게 오를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17일 180도 다른 의견을 내놨다. 이날 유 부총리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서울 강남권 투기과열지구 지정을 포함한 다각적인 부동산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3일 새 입장을 바꾼 이유에 대해 유 부총리는 최소한의 해명도 내놓지 않았다.
조율되지 않은 사안을 꺼냈다가 주무부처가 이를 부인하는 촌극도 있었다. 유 부총리는 13일 국회 기재위 국감에서 “8·25 가계부채 대책 효과를 살펴본 뒤 문제가 있다면 총부채상환비율(DTI) 조정이나 집단대출 가이드라인 등을 포함한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18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감에서 “DTI 강화에 대해서는 검토한 바 없다”고 답변해 유 부총리를 머쓱하게 했다. 이달 초에는 기준금리 인하를 놓고 갈팡질팡 행보를 보여 한국은행과 불필요한 갈등을 빚기도 했다.
유 부총리가 일관성을 유지하는 부분도 있다. 국내외 기관들이 올해 성장률에 대해 비관적 전망을 내놓고 있지만 “2.8% 성장률 달성이 가능하다”는 낙관론을 굽히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목표 달성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각론은 보이질 않는다.
지금 한국경제에는 기업 구조조정, 고용대란 등 현안이 산적해 있다. 국민이 경제사령탑에게 기대하는 것은 위기를 돌파할 리더십이지 불명확한 메시지와 오락가락 행보는 아니다.
세종=손영일·경제부 scud2007@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어제 못본 TV 명장면이 궁금하다면 'VODA'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강남권 청약광풍 표적치료".. 재건축 호가 4000만원 뚝
- 이재명 “국회·대통령 집무실 세종으로…임기 내 건립”
- [송평인 칼럼]대선 경쟁이 팽팽해지기 위한 3가지 조건
- [속보]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 권성동 “이재명, 공수처 강화 공약은 대규모 정치보복 빌드업”
- 헌재 “권한대행이 재판관 지명, 극심한 혼란 생길 것”
- 美, 저성능 AI칩도 中수출 통제… 관세전쟁, 반도체로 확전
- 용인 일가족 살해 가장은 분양업체 대표… 수십억 사기 고발당해
- [단독]건진 “尹과 친분” 檢 진술… 尹장모와 10차례 통화 기록도
- 절대강자 없는 국힘 경선… 의원들 ‘어디에 줄서나’ 눈치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