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긴급진단②] 전세난에 떠밀려 실수요가 움직인다
서울 전세가율 높은 지역 거래 늘어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박혜정 기자] #지난해 1월 결혼한 권모(31)씨는 아파트를 살까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 2억9000만원 전세로 들어간 서울 약수동 아파트(전용면적 57㎡)의 전셋값이 1년 만에 3000만원 뛰어서다. 같은 평수의 매매가격은 4억원. 권 씨는 "차라리 집을 사는 게 낫겠다"며 친정이 있는 경기 분당의 아파트 매매를 알아보고 있다. "전셋값이 올라 '깡통전세' 우려도 있고 그나마 반전세 아니면 월세 물량만 있다"며 "금리가 낮아서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주택 거래 급증의 배경에는 전세난이 자리한다. 전세 물건이 품귀현상을 빚으면서 전셋값은 고공행진을 오랫동안 이어가고 있다. 전세대란에 지친 실수요자들이 매매로 돌아서는 배경이다. 금리가 낮아져 대출이자 부담이 줄어든 점도 한몫 한다.
KB부동산시세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지난 2013년 3월 이후 단 한 번도 쉬지 않고 올랐다. 2013년 3월을 100.0으로 놓고 본다면 지난해 1월 106.4에서 올 1월 110.8, 2월 111.2로 상승했다.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을 의미하는 전세가율도 오름세다. 지난해 1월 67.2%였던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올 1월 70.2%, 2월 70.6%으로 70%를 넘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도 올 2월 66.8%로 올랐다. 성북구ㆍ강동구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전세가격이 집값의 90%를 훌쩍 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전셋값을 올려줄지, 반전세나 월세로 돌아설지, 아니면 대출을 받아 집을 살지를 놓고 주판알을 굴리던 수요자들이 속속 내집마련 쪽을 선택하고 있다. 특히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거래가 많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1월 기준 서울에서 전세가율이 높은 '톱5' 자치구 가운데 관악구를 제외하고 아파트 매매량이 평균(274.4건)을 웃돌았다. 전세가율이 74.8%로 가장 높은 성북구의 아파트 매매량은 346건이었고 동대문구 290건(73.6%), 성동구 300건(71.9%), 동작구 280건(71.7%), 구로구 379건(71.7%)이다.
아파트 매매량을 기준으로 봐도 상위 5개 지역 중 노원ㆍ강서ㆍ구로구의 전세가율이 평균(64.6%)을 넘었다. 노원구에서 1월 거래된 아파트는 636건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 지역의 전세가율은 69.5%로 평균보다 높았다. 강서구와 구로구의 전세가율은 각각 69.1%(445건), 구로구는 71.7%(379건)였다.
지역을 구분해 볼 때 지난해까지 지방을 중심으로 매매가 늘었다면 올 들어서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거래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 1~2월 수도권 주택매매거래량은 7만180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1% 늘었다.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진다면 수도권 내 주택거래는 50만건을 넘겨 2006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리서치팀장은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전셋값 상승에 지친 실수요자가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내집마련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거래량 증가에 따른 집값 상승은 아직 두드러지진 않지만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꿈틀대는 모양새다. 매매로 돌아선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기 때문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첫주까지만 해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06% 상승하는 수준이었는데 이달 들어서는 0.13% 상승으로 증가했다.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은 상승폭이 0.97%로 전국 평균치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요 부위' 노출에도 우승한 美 육상선수…"속옷 광고 찍자" 잇단 러브콜 - 아시아경제
- "음식도 맛있고, 숙소도 싸고, 최고"…지갑 가벼운 내 입맛에 딱 - 아시아경제
- 유럽여행 앞뒀는데 걱정 태산…"전역이 뒤덮였다, 9~10월까지 계속" - 아시아경제
- 내가 먹던 그 크림빵, 사려다 '멈칫'..."1900원짜리가 왜 여기선 2500원이죠?" [빵값의 비밀] - 아시아
- "일본 여행 못가" 130년 만의 폭염…하루만 51명 응급실행 - 아시아경제
- "계획적이고 수위 높아"…신세경 450여차례 협박한 악플러 징역형 - 아시아경제
- 당뇨병 전 단계에 있다면, 매일 '콩 한 컵' 어떠세요? - 아시아경제
- "여교사와 초등학생 제자의 로맨스" 드라마 제작 논란의 웹툰, 줄줄이 판매 중단 - 아시아경제
- 노래방 도우미 불러 라이브 방송한 공무원 "복지포인트로 유흥비 마련" 자랑도 - 아시아경제
- 언니 회사에 안 돌아오자 둘째 딸 등판…아모레 '유력 후계자' 변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