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전세 통보에 짐 싸는 세입자 '갈 곳 없어 발동동'
# 서울 중구 신당동 소재 전용 49㎡ 빌라에 전세(보증금 1억4천만 원) 사는 이모씨(34세, 주부)는 올해 6월 전세계약 만기가 도래했지만 집주인의 별다른 통보가 없어 계약이 자동 갱신된 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지난달 초 집주인으로부터 반전세로 돌리거나 보증금을 3천만 원 올려달라는 요구를 받고 깊은 시름에 빠졌다.
이씨는 동네 중개업소를 찾아 같은 금액의 전세물건을 의뢰했지만 그 금액에 나와 있는 물건은 반지하방 아니면 원룸 밖에 없어 이달부터 20만원씩 월세를 내기로 했다.
8.28 전·월세대책이 발표됐다. 하지만 임대시장은 아직 별다른 움직임이 보이지 않고 있다. 바닥으로 고꾸라진 매수심리는 좀처럼 살아나지 못하고 있어 전세가 상승이나 반전세·월세 전환은 계속되고 있다.
# 내년이면 첫 째 아이가 초등학교에 들어가는 나모씨(37세, 주부)는 아이 학교문제로 옆 동네로 이사 가기 위해 3개월 전에 집을 내놨다. 전용 50㎡로 소형에다 매입한 금액으로 집을 내놨기 때문에 큰 무리 없이 팔릴 것이라 생각한 나씨는 3개월 동안 집을 보러 오겠다는 전화한통 없자 결국 시세에 맞춰 전세를 주고 전세로 가기로 했다.
전세선호현상은 위 사례 같이 기존 집을 정리해 다른 집을 사려는 매수수요까지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전세를 주고 전세를 가려해도 여건이 좀 나은 집을 찾자니 천정부지로 뛴 전세금을 맞추기는 어지간한 발품으로는 어림도 없다.
이미 주택거래시장에 10건 중 7건은 전·월세 같은 임대거래다. 현재 주택거래시장이 지극히 임대중심으로 변화되어 가는 것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대목이다.
실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공개하는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 실거래 데이터(2010~2013.07) 95만3367건을 살펴본 결과, 27만 여건(28.9%)이 매매거래, 68만 여건(71.1%)이 전∙월세 등의 임대거래로 나타났다.
이를 연도별로 비교해봤을 때 임대거래는 2010년 63.3%에서 2013년 73.6%로 10%p넘게 증가했다. 임대거래 비중 증가의 주원인은 월세거래의 증가다. 2010년 전체 12%에 불과했던 월세 거래비중이 2013년에는 20%까지 증가한 모습을 보였고, 전세거래(51%→54%)도 소폭 증가했다. 반면 매매거래는 11%p 감소했다.
자치구별로는 마포구의 임대거래 비중이 79.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송파구 79.4%, 강남구 78.8%, 중구 77.7%, 서초구 76.2% 등이 뒤를 이었다.
입지적 측면이 좋고, 학군 등에서 유리한 고가아파트 밀집지역에서 임대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높은 가치를 지불하고 임대로 거주하더라고 이곳에 진입하려는 수요자들의 선호도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들 지역 외에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선호도가 낮은 지역에서도 임대거래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모습도 나타났다.
관악구의 2010년 임대거래 비중은 41.6%로 전체 절반이 되지 않았으나, 2013년에는 70.8%로 29.2%p나 증가했다.
광진구도 55.2%에서 76.4%로 21.3%p 증가 했고, 강동구(17.9%p), 서대문구(14.4%p), 강서구(13.0%p)도 높은 증가 폭을 보이며, 임대거래 비중 증가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일부 자치구에서는 월세거래가 매매거래를 역전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2010년에는 중구의 월세거래 비중이 매매거래 비중보다 0.6%p 높은 것이 유일했지만 2013년에는 마포(5.5%p)와 송파(4.4%p), 강남(3.9%p), 서초(2.4%p), 중구(0.6%p)의 월세거래 비중이 매매거래 비중을 앞질렀다.
특히 강남과 서초 등은 재건축 대상 아파트가 다수 포진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월세거래가 매매거래를 추월했다는 것은 재건축의 거래부진과 함께 고(高)비용을 지불하는 월세족이 많다는 점을 시사하기도 한다.
부동산 시장불황에 따른 매매가치의 하락, 미래가치의 불안전성 등이 수요자들을 매매보다는 임대로 쏠리고 있다. 하지만 임대거래 비중 확산이 생각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임대거래에 쏠리다 보면 매수를 고려한 수요자들도 역시 임대거래로 눈 돌릴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계속될 것은 불 보듯 뻔하다.
부동산 시장 거래 정상화를 위해 '생애최초대출'이나 '취득세 감면' 등의 정책이 나오고 가시적인 효과를 얻긴 했지만 정작 시장을 이끌어가는 임대수요를 위한 정책은 아직 미흡하다.
부동산114 장용훈 연구원은 "높은 임대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수요자들이 속출하는 가운데 이들을 위한 정책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매매거래 정상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전세물건만 기다리다 보면 결국 높아진 전세가격을 감당하지 못하고 외곽으로 밀려나거나 선택의 폭이 월세로 한정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매경닷컴 조성신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탈북녀, 한국 속옷 가게 갔다가 화들짝..가슴이
- '소시' 태연 홈런 시구에 '민망' 시타 서현은.. [mk화보]
- 류현진, 박한별 열애설 부인 "얼굴도 못 봤다"
- 김재연, 이석기 압수수색 현장 공개.."박근혜 대통령의 유신독재" 비난
- 전세보다 싸게 집 산다..수익형·손익형 모기지 도입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주인 찾기 실패…HMM이 몰고 올 후폭풍 [BUSINESS]
- 민희진, ‘아일릿-뉴진스 표절 부인’ 빌리프랩 대표 고소…50억 손배소도 제기[전문]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