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력 상실한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세 전환'
4.1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2개월 만에 서울·수도권 아파트 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저가매물 소진 후 매수 희망가와 매도 호가 차이가 벌어지면서 거래 소강상태가 나타났고, 가격 상승이 폭이 컸던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은 다시 하향 조정됐다.
일반 아파트 역시 대형면적을 중심으로 약세를 보였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5월 마지막 주 ▼서울(-0.02%) ▼수도권(-0.01%) 매매가격은 모두 내림세를 보였다. 지난 4월 매매가격 하락에서 벗어난 이후 7주만에 다시 하락했다. 신도시(0.00%)는 보합세로 큰 변동이 없었다.
반면 전세시장은 소폭 오름세를 이어갔다. △서울(0.03%) △신도시(0.01%) △수도권(0.01%)등 수도권 전 지역 올랐다. 이사철이 지나 전세대란은 없지만 전세 재계약으로 매물 자체가 없어 국지적인 가격 상승을 이어갔다.
서울 매수 관망·수요 위축으로 인해 매매가격 하락세 전환
▼송파(-0.12%) ▼동대문(-0.05%) ▼강남(-0.04%) ▼관악(-0.04%) ▼도봉(-0.02%) ▼노원(-0.02%) ▼구로(-0.02%) 순으로 내렸다. 송파구는 6월 취득세 감면 종료 후 가격 조정을 예상한 매수자들이 거래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며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강세를 보이던 잠실주공5단지와 4.1대책 이후 오름세를 보였던 가락시영1·2차이 주간 1천만 원 가량 내렸다. 강남구는 개포동 주공1·2단지, 도곡동 경남 등이 5백만 원~3천만 원 정도 하락했다.
저가매물로 간헐적인 거래가 이뤄지고 있지만 매수자들은 좀더 지켜보자는 반응으로 가격조정과 관망세가 반복되는 분위기다.
한편 △강서(0.04%) △중랑(0.02%) △마포(0.01%) △양천(0.01%)지역은 중소형아파트의 급매물 거래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가격이 소폭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강서구는 화곡동 우장산IPARK·e편한세상 소형면적이 주간 5백만 원~1천만 원 정도 올랐고, 중랑구는 묵동 극동늘푸른, 브라운스톤태릉 등이 주간 2백5십만 원~1천만 원 정도 올랐다. 그 밖에 마포구 성산동 성산시영대우, 양천구 신정동 목동현대 등도 소폭 시세가 상승했다.
신도시는 △분당(0.01%)만 매매가격이 소폭 오르고 나머지 일산, 산본, 중동, 평촌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수도권에서는 ▼용인(-0.03%) ▼의왕(-0.03%) ▼부천(-0.02%) ▼광주(-0.01%) ▼남양주(-0.01%) ▼화성(-0.01%) ▼수원(-0.01%)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용인시는 거래가 부진한 중대형 면적 위주로 약세를 보였다. 풍덕천동 진산마을삼성래미안5·6·7차, 마북동 교동마을현대홈타운 등이 5백만 원~2천만 원 가량 내렸다. 의왕시 내손동 e편한세상 역시 매수세가 없어 2백5십만 원 정도 가격이 떨어졌다. 부천시는 상동 다정한마을의 금강KCC, 삼성 등이 2백5십만 원 정도 내렸다.
전세시장 서울·신도시·수도권 모두 오름세 지속
서울 전세시장은 △종로(0.22%) △성북(0.14%) △구로(0.13%) △은평(0.12%) △동작(0.09%) △노원(0.06%) △중랑(0.06%) 순으로 올랐다. 종로구는 전세매물이 귀해 대기수요 넘치고 있다.
무악동 인왕산IPARK, 평창동 롯데낙천대 등이 5백만 원~1천만 원 가량 올랐으며, 성북구는 돈암동 동부센트레빌, 하월곡동 월곡두산위브 등이 5백만 원~1천만 원 정도 올랐다.
전세수요가 주춤한 편이지만 중소형 전세매물이 부족해 전셋값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구로구는 구로동 이화우성, 신도림동 대림1차 등이 1천만 원~1천5백만 원 정도 올랐다.
신도시 전세시장은 △분당(0.02%) △일산(0.01%)만 소폭 올랐다. 부족한 전세매물로 분당 이매동 아름한성, 일산 주엽동 문촌뉴삼익 등이 2백5십만 원~5백만 원 올랐다. ▼중동(-0.02%)은 소폭 하락했다.
수도권은 전세 매물이 부족한 가운데 중소형 중심으로 전세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의왕(0.05%) △광명(0.05%) △수원(0.03%) △과천(0.03%) △화성(0.02%) △김포(0.02%) △안양(0.02%) 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4.1 대책으로 급매물 중심으로 거래에 온기가 돌기는 했지만 뒷심 부족으로 한계를 드러냈다. 더욱이 최근 정부는 취득세 감면 혜택 연장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혀 매수자들의 관망세는 더욱 짙어지는 분위기다.
6월말 취득세 감면이 종료되면 이후 거래절벽에 따라 가격조정이 나타날 수 있다고 기대하는 매수자들이 거래에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단기 정책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보인다.
다만 '막차효과'로 인하여 6월 거래가 살아날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다가오는 휴가철 비수기와 거시경제의 불확실성 을 고려할 때 정부 정책이 효과를 거두기에는 부정적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전세시장은 상대적인 물건부족과 국지적인 가격상승이 예상된다. 전세 재계약이 많아 신규 전세물건이 부족한 상황으로 세입자들에게 인기가 좋은 중소형, 역세권 아파트는 전세가 상승이 이어질 전망이다.
[매경닷컴 조성신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mk포토] 강윤이,'시건방춤도 섹시하게'
- 면도를 해야 하는 이유 '아이의 웃음을 위해서라면..'
- 2013년 류현진, 2000년 박찬호 전성기 '압도'
- '벌써 6승' 류현진, 올 시즌의 끝은..
- 엔低 주춤에 대형수출株 낙폭 커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