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2+2 통상 협의’ 마주앉아... 상호관세 25% 폐지 논의

워싱턴/김은중 특파원 2025. 4. 24. 22: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4일 미국 워싱턴 DC 재무부 청사에서 열린 한미 '2+2 협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안덕근 산업부 장관, 최상목 경제부총리,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 대표. /기획재정부

한국과 미국은 24일 워싱턴 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에 부과한 25% 상호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2(재무·통상) 협의’를 개최했다. 한국 측에선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미국 측에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각각 참석했다. 트럼프가 지난주 일본과 마찬가지로 회담 후 한국 대표단과 ‘깜짝 면담’을 할지가 관심거리지만 현재까지는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는 협의 결과를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회담은 오전 8시 10분부터 백악관 바로 옆에 있는 재무부 청사에서 시작됐다. 회담 핵심은 트럼프가 이달 초 한국에 부과한 관세를 둘러싼 양국 협의다. 지난 5일부터 10%의 기본 관세가 발효됐고, 한국에는 25%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이를 90일 유예했다. 상품별로 봐도 철강·알루미늄에 25%, 한국의 대미 수출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에 25%의 관세가 각각 부과된 상태다. 안 장관은 전날 “한미 교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자동차”라며 “(차 관세와 관련해) 적극 협의할 것”이라고 했다.

이번 협의는 트럼프가 드라이브를 건 ‘관세 전쟁’이 본격화된 후 한미 고위급이 테이블에 처음 마주 앉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격적인 협상보다는 일종의 탐색전 성격을 띠고 있는데, 이날 협의는 약 1시간 9분 동안 진행됐다. 특히 베선트는 관세 전쟁의 주무장관처럼 됐기 때문에 최 부총리 등은 상호 관세 철폐 또는 대폭 축소의 조건으로 미국이 희망하는 바를 청취하고, 에너지·조선 협력 방안에 대한 의견도 교환했을 것으로 보인다. 안 장관은 오후에 그리어와는 별도로 협의를 가질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