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과 단일화’ OX 질문에 안철수 ‘O’… 김문수 ‘세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수 진영 내에서 '반(反)이재명 빅 텐트'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대선 후보에 선출될 경우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 단일화에 나서겠다고 24일 밝혔다.
안 후보는 이날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열린 2차 경선 '일대일 맞수 토론회'의 '즉문즉답 OX' 질문에서 '당 후보가 되면 이준석 후보와 단일화한다'는 질문에 'O' 팻말을 들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수 진영 내에서 ‘반(反)이재명 빅 텐트’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대선 후보에 선출될 경우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와 단일화에 나서겠다고 24일 밝혔다. 김문수 후보는 “간단치 않을 것”이라고 했다.
안 후보는 이날 서울 종로구 채널A 스튜디오에서 열린 2차 경선 ‘일대일 맞수 토론회’의 ‘즉문즉답 OX’ 질문에서 ‘당 후보가 되면 이준석 후보와 단일화한다’는 질문에 ‘O’ 팻말을 들었다.
안 후보는 “이번 선거는 정말로 어려운 선거다. 국민의 60% 이상이 정권 교체를 바라고 있다”며 “우리가 이기기 위해서는 반이재명 세력을 한 사람이라도 더 모아야 한다. 평소에 생각이 다르더라도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이 안 된다는 생각만 같으면 무조건 우리 편이다. 한 사람이라도 모으는 것이 이길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했다.
김 후보는 ‘OX’ 팻말을 중간에 뒀다. 그는 " 이준석 후보는 우리 당의 대표 출신이고 젊은 층의 지지를 상당히 받고 있다”며 “기본적으로는 합쳐야 하는데 조건이 한덕수 대행만큼 간단하지 않은 많은 문제가 있어서 세모를 들었다”고 설명했다.
‘한 사람이라도 모아야 한다’고 답했던 안 후보는 ‘차출론’이 제기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단일화에 대해선 ‘X’ 팻말을 택했다. 그는 “한 대행이 해야 할 일이 너무나 많다. 현재 미국의 관세 문제가 정말 심각하다”며 “미국은 대통령 임기 중 6개월 내에 그 나라에 대한 정책들이 다 결정된다. 민주당 때문에 (정부가) 3개월 동안 일하지 못했던 것이 너무 아쉽다. 한 대행은 3개월 동안 이 일에 집중하셔야 한다”고 했다.
반면 앞서 한동훈 후보와의 토론회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O’를 택한 김 후보는 “한 후보가 출마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그분이 출마하면 우리 표를 갉아먹는다. 가뜩이나 어려운 처지에서 이기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그래서 누가 나오더라도 반드시 단일화를 해야 한다. 반드시 뭉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이 되면 사전투표제를 폐지한다’는 질문에도 입장이 갈렸다.
김 후보는 “투표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도 사전투표를 없애는 것이 좋다고”고 했다. 반면 안 후보는 “사전투표제의 원래 취지는 많은 사람들이 자기의 투표권을 발휘하기 위한 방법이다. 우리에게 주는 효과가 더 많다”며 “부정 선거에 대한 게(의혹이) 있지만 모두 다 기술적으로 풀 수 있는 문제”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軍 쿠데타 상속인에도 배상 책임 물어야”… 최태원·노소영 이혼 소송 영향은
- “현지 생산도 고려”… 中 공략하는 운동화 ‘신흥 강자’ 온
- 경기 시흥 편의점에서 中 국적 남성 흉기 난동… 자택서 시신 발견
- 감기인 줄 알았는데 붉은 발진이…성홍열 주의보
- [가봤어요] “다채로운 맛 선사하겠다”… 한화 3세 김동선의 아이스크림 브랜드 ‘벤슨’ 1호점
- 광교신도시 대장 아파트의 눈물…이달 4년 전보다 낮은 가격에 팔렸다
- [K패션뷰티 뉴리더]⑨ 한국의 ‘진짜’ 20대가 입는 옷, 세계인 열광… K패션 강자 마뗑킴 성공비
- 美 바이든의 전립선암…치료법 다양하나 시기 놓치기 쉬워
- [인터뷰] ‘형제의 나라’ 튀르키예…K농기계로 ‘블루오션’ 공략하는 아랄그룹
- HBM·D램 가격 줄줄이 인상… 하반기 SK하이닉스는 ‘고점’, 삼성전자는 ‘반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