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직 먼저 나가세요”…무려 ‘500명’ 희망퇴직 받는 ‘이 기업’, 왜?
[헤럴드경제=김주리 기자] 일본 자동차 기업 마쓰다가 2001년 이후 처음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다. 미국발 글로벌 관세전쟁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23일 아사히신문 보도에 따르면 마쓰다는 공장 기능직 이외 정규직을 대상으로 내년 말까지 총 500명의 희망퇴직자를 올해 6월과 12월 등 4회에 걸쳐 모집한다고 발표했다.
이 회사는 경력을 살려 다른 곳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희망자를 지원하려는 것으로, 미국의 관세 조치가 발표되기 전부터 희망퇴직을 검토해왔다고 설명했다.
다만 다케우치 도미코 최고인사책임자는 “자동차 업계가 전동화나 통상 정책 대응으로 전망이 매우 불투명해 사원 개개인의 자립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은 “마쓰다의 이번 희망퇴직은 실적 악화에 대응한 2001년 이후 처음”이라며 이달 3일에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원가절감 등에 힘쓸 것이라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고 전했다.
마쓰다는 최근에는 미국 행정부의 관세 조치 영향으로 미국 공장에서 만들어 온 캐나다 수출용 차량의 생산도 일시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8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마쓰다는 미국 앨라배마주 공장에서 제조하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CX-50’ 중 캐나다 수출용에 한해 5월 12일부터 생산을 중지한다.
다른 일본 자동차 업체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혼다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차량의 약 90%를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닛산자동차도 미국 공장의 감산 계획을 철회하고 일본에서 생산했던 일부 차량을 미국에서 만드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자동차는 일본의 대미 수출 중 3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핵심 품목이다.
지난해 일본의 대미 수출액은 21조2951억엔(약 214조원)이었고, 그중 자동차가 6조261억엔(약 60조원)으로 전체의 28%를 차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 관세 부과를 발표한 바 있다.
자동차에 대한 관세는 지난 3일부터 부과되기 시작했고, 다음 달 3일 이전에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등 핵심 자동차 부품으로 관세 부과 대상이 확대될 예정이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 축구선수 강지용 사망 비보…‘이혼숙려캠프’ 방송분 삭제
- 이정재 회사, 신주발행 문제없다…法,소액주주 가처분 기각
- 황철순, 아내에 법적대응 예고...“폭행·양육비 미지급 주장은 허위”
- ‘100만 유튜버’ 강남…“아내 이상화 재산 5배나 많아, 금메달만 400개”
- “쟤 누구야?” 쯔양 달라진 외모에 엄마도 못 알아봐
- “성소수자 자랑스러워”…한국 男아이돌 최초 커밍아웃
- 배종옥, 과거 男배우 음담패설에 “男 환상 깨졌다”
- 배우 김성령, 결식아동 한 끼 나눔…푸디스트와 선행 행보
- “감사 인사한 게 죄?” 고맙다고 한마디 했을 뿐인데…수백억 날린 이 남자
- 그만둔 회사가 ‘초대박’…서른에 돈방석 앉은 女, 누구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