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트럼프, 자동차 제조업체 위해 부품 관세 일부 면제 계획"

나주예 2025. 4. 24. 0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철강·알루미늄 관세서 車부품 제외 검토
대중 관세 중 자동차 부품 면제 가능성
트럼프, 관련 질문에 "당장은 검토 안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 워싱턴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기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워싱턴=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의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자동차 부품 관련 일부 관세를 면제할 계획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현지시간) 해당 사안을 잘 아는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대상 중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지난달 12일부터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상품에 부과했던 25% 관세 중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자동차 관련 부품은 면제하는 것이다. 최근 몇 주간 자동차 업계 경영진의 강도 높은 로비에 따른 조치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 3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합성 마약 펜타닐 원료를 문제 삼아 중국을 상대로 매겼던 20% 관세에서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연이은 관세 조치에 따른 '중복 부과'를 조정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FT는 미국 시장의 자동차 가격 상승과 공급망 혼란에 따라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또 한번 후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를 지난 9일 발효 13시간 만에 유예했으며, 보복관세로 맞대응하며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에 대한 관세도 협상을 통해 인하할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의 집요한 관세 완화 로비도 자동차 부품 관세 일부 면제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증시가 폭락하고 미국 경기 침체에 대한 경고까지 나오면서 트럼프 정부가 특혜 산업에 대해선 예외 조치를 취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 주는 신호인 셈이다.

다만 외국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부과한 25%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방침이다. 자동차 부품에 대한 별도의 25% 관세 또한 그대로 적용돼 다음 달 5일부터 부과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백악관에서 자동차와 주요 부품 관세 조정을 고려하고 있냐고 기자들의 질문에 "당장은 고려하지 않는다"면서도 "하지만 어느 시점이 되면 그것은 높아질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솔직히 말해 우리는 우리만의 자동차를 만들길 원하고, 이제 그럴 수 있는 여건이 갖춰졌다"면서 "우리는 이곳에서 자동차를 만들고 싶다"고 덧붙였다.

나주예 기자 juy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