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트럼프, 자동차 제조업체 위해 부품 관세 일부 면제 계획"
대중 관세 중 자동차 부품 면제 가능성
트럼프, 관련 질문에 "당장은 검토 안 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국의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자동차 부품 관련 일부 관세를 면제할 계획이라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3일(현지시간) 해당 사안을 잘 아는 두 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대상 중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지난달 12일부터 전 세계 철강·알루미늄 및 그 파생상품에 부과했던 25% 관세 중 범퍼, 차체, 서스펜션 등 자동차 관련 부품은 면제하는 것이다. 최근 몇 주간 자동차 업계 경영진의 강도 높은 로비에 따른 조치다.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2, 3월 미국으로 유입되는 합성 마약 펜타닐 원료를 문제 삼아 중국을 상대로 매겼던 20% 관세에서 자동차 부품은 제외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연이은 관세 조치에 따른 '중복 부과'를 조정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FT는 미국 시장의 자동차 가격 상승과 공급망 혼란에 따라 일자리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또 한번 후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를 지난 9일 발효 13시간 만에 유예했으며, 보복관세로 맞대응하며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에 대한 관세도 협상을 통해 인하할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의 집요한 관세 완화 로비도 자동차 부품 관세 일부 면제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미국 증시가 폭락하고 미국 경기 침체에 대한 경고까지 나오면서 트럼프 정부가 특혜 산업에 대해선 예외 조치를 취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 주는 신호인 셈이다.
다만 외국에서 수입되는 자동차에 부과한 25%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방침이다. 자동차 부품에 대한 별도의 25% 관세 또한 그대로 적용돼 다음 달 5일부터 부과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 백악관에서 자동차와 주요 부품 관세 조정을 고려하고 있냐고 기자들의 질문에 "당장은 고려하지 않는다"면서도 "하지만 어느 시점이 되면 그것은 높아질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솔직히 말해 우리는 우리만의 자동차를 만들길 원하고, 이제 그럴 수 있는 여건이 갖춰졌다"면서 "우리는 이곳에서 자동차를 만들고 싶다"고 덧붙였다.
나주예 기자 juye@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본군에 화형 당할 뻔한 강 할머니, 치매 앓는 그에게 딸이 하고 싶은 이야기 | 한국일보
- [단독] 얼굴 사진 현수막, SNS '신상털이'... 판사들 "형사재판 피하게 돼" | 한국일보
- 김준호, 5월 결혼 앞두고 "술 마시면 딸 낳는다고"... 깜짝 발언 | 한국일보
- 건진법사 집에서 발견된 '5000만 원' 신권 다발... 검찰 출처 추적 | 한국일보
- "일 못하고, 나대면 잘린다"… 이재명 '최애' 참모는 쓴소리하는 '위징' | 한국일보
- [단독] 도 넘는 '좌표찍기'… 판사 절반 "외부 압력받았다" | 한국일보
- "尹 고향은 무슨" "李 말로만 사위"... 요동치는 충청 민심 [르포] | 한국일보
- 신정환, 연예인 성 상납 폭로… "사업가가 금액까지 언급" | 한국일보
- 전 축구선수 강지용, '이혼숙려캠프' 출연 두 달 만 사망... 방송분은 비공개 | 한국일보
- "위안소 탈출하려다 밤새도록 맞아" 할머니 입 열게 한 기록자의 노력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