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개정 학교안전법 6월 시행…“부당한 책임 줄이고 학생 학교 밖 교육활동 보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학교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지난해 11월 국회를 통과한 개정 학교안전법이 오는 6월 시행된다.
개정 법의 골자는 △학교장 및 교직원 민형사상 면책으로 교육활동 위축 방지 및 부당한 책임 면제 △학교 밖 교육활동의 안전관리와 지원을 위해 준비단계부터 보조 인력 배치 △교육감은 관련 행·재정 지원 등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학교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지난해 11월 국회를 통과한 개정 학교안전법이 오는 6월 시행된다.
개정 법의 골자는 △학교장 및 교직원 민형사상 면책으로 교육활동 위축 방지 및 부당한 책임 면제 △학교 밖 교육활동의 안전관리와 지원을 위해 준비단계부터 보조 인력 배치 △교육감은 관련 행·재정 지원 등이다.
부당한 책임은 줄이고 학생들의 안전한 학교 밖 교육활동은 보장하는 취지다. 여야 의원들 법안 3건이 병합돼 합의 처리됐다.
바뀐 학교안전법의 6월 시행을 앞두고 최근 일부 보강하는 법안도 발의됐다. 김문수 국회 교육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개정 발의안을 통해 보조인력도 학교장 및 교직원처럼 면책할 수 있도록 했다. 다만, 면책적용 기준을 안전사고관리 지침에 따라 안전조치 의무를 다한 경우로 명확히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 의원은 “학교안전법이 제대로 시행되어 부당한 책임은 줄고 안전은 늘어나는 취지가 구현됐음 한다”면서 “정부는 학교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행·재정적 지원 및 조례 마련 등 제반 준비에 내실 있게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LG전자, 전기차 충전기 사업 종료…냉난방공조 집중
- IMF “한국 올해 경제성장률 1%”…두 달만에 절반 낮춰
- 최태원 “韓·日 긴밀 협력 확대…새로운 보호무역 대응해야”
- 美 자동차 제조사, 25% 부품 관세 취소 촉구… “가격 상승·판매감소 우려”
- 가온아이-아이서트, 비즈오피스 기반 중소기업 전자계약 시장 확대
- “무역전쟁 끝날까”…기대감에 다우·나스닥 2% 반등
- 오픈AI, 워싱턴포스트와 챗GPT 콘텐츠 사용 계약 체결
- “자동차 1시간 거리 5분에”…뉴욕서 '항공택시' 출범 코앞
- 머스크, 정치에서 손 떼나… “xAI에 자금 조달 준비”
- [WIS 2025]LG전자 '공감지능(AI) 신가전과 모빌리티 솔루션' 선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