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46일만에 9만달러선 회복…이더리움 10%대 반등 [투자360]

유동현 2025. 4. 23. 07: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가상자산 시가총액 1위 비트코인이 한 달 반 만에 9만 달러선을 탈환했다.

23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43분 비트코인은 전장 대비 6.61% 오른 9만2811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비트코인이 9만 달러선에서 오른 것은 지난달 6일 이후 46일 만이다.

비트코인도 관세 전쟁으로 인한 투자 심리 약화로 지난 7일 7만4000달러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확실한 시장서 금과 유사 흐름
“가치저장 수단 강세론 다시 주목”
비트코인. [로이터]

[헤럴드경제=유동현 기자] 가상자산 시가총액 1위 비트코인이 한 달 반 만에 9만 달러선을 탈환했다.

23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43분 비트코인은 전장 대비 6.61% 오른 9만2811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비트코인이 9만 달러선에서 오른 것은 지난달 6일 이후 46일 만이다.

비트코인 가격은 최근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으로 미국 주식시장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상승했다.

비트코인도 관세 전쟁으로 인한 투자 심리 약화로 지난 7일 7만4000달러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이후 꾸준히 상승 모드를 타고 20% 이상 올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 대한 기준금리 인하 압박을 강화하며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비트코인은 이틀간 6% 이상 상승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미국 기술주와 함께 움직이던 오랜 경향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규모 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한 뒤 위험 자산 전반이 하락세를 보인 이후 비트코인은 불확실한 시장에서 돋보이는 자산인 금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비트코인의 이 같은 미국 자산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은 달러 약세에 기인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 달러화는 최근 가치가 급락해 3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하기도 했다.

투자 심리도 바뀌면서 미국 상장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에는 지난 21일 하루 동안 총 3억8100만 달러의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1월 30일 이후 최대 규모다.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 시그널플러스의 파트너인 오거스틴 판은 “미 자산과 디커플링이 지속된다면 비트코인을 가치 저장 수단으로 바라보는 장기 강세론이 다시 주목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호주 시드니 소재 가상화폐 헤지펀드 DACM의 공동 창립자 리처드 갤빈은 “비트코인이 기술주가 아닌 금처럼 거래되는 흐름이 계속된다면 디커플링 서사가 더욱 힘을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시간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은 10.69% 올라 1745달러를 나타냈고, 엑스알피(리플)과 솔라나, 도지코인도 각각 6.18%와 8.05%, 13.38% 상승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