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정한 도쿄증시…상장 5년내 시총 100억엔 안되면 '상폐'

김일규 2025. 4. 22. 18: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본 도쿄증권거래소가 또다시 칼을 빼들었다.

신흥기업이 상장 5년 뒤 시가총액 100억엔을 넘지 못하면 상장을 폐지하기로 했다.

상장 5년 뒤 시총이 100억엔에 미치지 못하면 상장 폐지된다.

니혼게이자이가 연초부터 지난 3일까지 평균 시총을 조사한 결과 그로스 상장사 423곳이 시총 100억엔 미만이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흥기업 위주 '그로스시장'
5년 뒤 새 상장 유지 기준 적용
긴장감 조성으로 밸류업 촉진

일본 도쿄증권거래소가 또다시 칼을 빼들었다. 신흥기업이 상장 5년 뒤 시가총액 100억엔을 넘지 못하면 상장을 폐지하기로 했다. 기업공개(IPO) 후 주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과감히 퇴출해 기업 신진대사를 촉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신흥기업 대상 인수합병(M&A)도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도쿄증권거래소는 22일 전문가 회의에서 신흥기업이 상장하는 ‘그로스’ 시장의 새로운 상장 유지 기준안을 결정했다. 상장 5년 뒤 시총이 100억엔에 미치지 못하면 상장 폐지된다. 기존 기준인 ‘상장 10년 뒤 시총 40억엔 이상’보다 대폭 강화하는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기관투자가 조사에서 투자 대상 최소 기준은 시총 100억엔 이상이라는 의견을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도쿄거래소는 2022년부터 기업 규모와 성장 단계에 따라 글로벌 대기업 중심인 ‘프라임’(시총 100억엔 이상), 중견기업 위주의 ‘스탠더드’(10억엔 이상), 신흥기업이 포진한 ‘그로스’(5억엔 이상) 등 3개 시장으로 구분해 운영하고 있다.

그로스 상장사는 이날 기준으로 616곳이다. 이 가운데 시총 100억엔 미만인 곳은 70%에 달한다. 니혼게이자이가 연초부터 지난 3일까지 평균 시총을 조사한 결과 그로스 상장사 423곳이 시총 100억엔 미만이었다. 도쿄거래소는 충분한 준비 기간을 주기 위해 2030년 이후 상장해 5년이 지난 기업에 새 기준을 적용할 계획이다.

도쿄거래소는 2022년 3개 시장으로 재편한 뒤 상장 유지 기준을 점차 강화했다. 2023년 3월에는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이하 상장사에 ‘자본 비용과 주가를 의식한 경영’을 촉구하는 등 긴장감을 불어넣었다. 이른바 ‘PBR 개혁’이다. 도쿄거래소의 ‘채찍질’은 프라임 상장사 실적과 주가를 끌어올리는 데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그로스 상장사 개혁이 늦춰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니혼게이자이는 “주식 시장을 이끌 신흥기업이 부족하다”며 “전체 상장사에 더욱 활발한 신진대사가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그로스 시장은 신흥기업이 성장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신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소규모 상장사’에만 머무는 것이 문제다. 2004년 7월~2024년 12월 그로스 시장에 상장한 기업 중 상장 당시 시총을 밑도는 기업은 45%에 이른다. 니혼게이자이는 “시총이 작으면 자금력 있는 기관투자가의 투자 대상이 되기 어렵다”며 “거래량이 줄어들면 신주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도 어려워져 성장을 가속화하지 못하는 악순환에 빠진다”고 분석했다.

신흥기업은 그로스 시장에서 퇴출되더라도 지방 증권거래소에 다시 상장하면 주식 거래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경영자인수(MBO)를 통한 비상장 전환도 선택 가능하다. 일본 M&A 정보 업체 레코프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MBO는 18건으로, 조사를 시작한 2001년 이후 세 번째로 많았다. 펀드가 나서서 구조조정과 과감한 투자를 이끈 사례도 눈에 띈다. 일본 내 프라이빗에쿼티(PE)의 M&A는 지난해 275건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도쿄거래소는 상장 유지 기준을 강화함과 동시에 지원책을 내놨다. 규제 강화와 함께 시총을 늘릴 수 있는 지원도 필수라는 판단에서다. 상장 상황 분석과 목표 점검 등을 도울 방침이다.

도쿄=김일규 특파원 black0419@hankyung.com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