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산불 발생 한 달…“이재민들 고통은 현재 진행형”

김재산 2025. 4. 22. 08: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천문학적인 피해를 낸 경북 산불이 발생한 지 22일로 한 달째를 맞았지만 피해 이재민들의 아픔은 현재진행형이다.

임시주택 공급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대부분 고령인 이재민들은 경로당, 마을회관, 모텔, 연수원 등 임시 거처에서 고단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다.

경북도와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안동·의성·영덕·청송·영양 등 산불 피해 5개 시군은 이재민 수요 조사를 거쳐 임시주택 2692동을 공급할 예정이지만 현재까지 설치된 임시주택은 70여동뿐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 탄 건물 처리·임시 주택 공급 늑장…장마철 앞두고 산사태 등 2차 피해 걱정
산불 이재민들을 위해 지난 18일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권정생 어린이문학관 부지에 지어진 ‘경북형 모듈러 주택’ 18동에 첫 입주가 시작됐다. 경북도 제공

천문학적인 피해를 낸 경북 산불이 발생한 지 22일로 한 달째를 맞았지만 피해 이재민들의 아픔은 현재진행형이다.

임시주택 공급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대부분 고령인 이재민들은 경로당, 마을회관, 모텔, 연수원 등 임시 거처에서 고단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다.

불에 탄 주택 등 시설물 철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역대 최악의 피해가 난 산림은 우기가 다가올수록 산사태 등 2차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북도와 각 지자체 등에 따르면 안동·의성·영덕·청송·영양 등 산불 피해 5개 시군은 이재민 수요 조사를 거쳐 임시주택 2692동을 공급할 예정이지만 현재까지 설치된 임시주택은 70여동뿐이다. 이 가운데 입주가 끝난 임시주택은 4가구에 그친다.

경북도와 각 시군은 이달 말까지 임시주택 전체 공급 물량의 44%, 다음 달 말까지 나머지를 모두 공급할 계획이다.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5개 시군을 덮친 산불로 이재민 3773명이 발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영덕 1135명, 안동 1129명, 청송 867명, 의성 507명, 영양 135명이다.

소실 주택 등 시설물 철거와 폐기물 처리로 산불의 상흔을 씻어내는 데도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이번 불로 주택 3819채(전소 3563채, 반소 256채)가 소실됐다. 시군별 주택 피해는 안동 1379채, 영덕 1178채, 청송 787채, 의성 351채, 영양 124채다.

지난 20일부터 철거업체 13곳을 투입해 주택 등 소실 건물 철거에 들어간 안동시는 최대한 빨리 철거한다는 방침이지만 피해 시설이 많아 기한을 장담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안동시는 폐기물 약 48만2000t(처리비용 430억원)을 건설폐기물, 혼합폐기물, 지정폐기물 등으로 구분해 건설폐기물과 기타 폐기물은 관내 다섯 곳에 설치된 임시적환장으로 옮겨서 처리할 계획이다. 슬레이트와 같은 지정폐기물은 현장에서 해체·처리한다.

이재민 등 주민들은 영농철을 맞아 농사를 본격적으로 재개했으나 주 소득원인 사과, 송이, 고추 등 작물 피해가 많은 데다 당장 피해가 나타나지 않은 작물도 앞으로 정상적인 생육이 이뤄질지 걱정이 앞서는 상황이다.

이번 불로 농축산 분야는 농작물 2003㏊(과수 1851㏊), 시설하우스 1480동, 축사 473동, 농기계 1만7265대가 소실됐다.

막대한 산림 피해로 산사태 등 2차 피해 우려도 크다. 산림 피해 면적은 9만9289㏊(의성 2만8853㏊·안동 2만6709㏊·청송 2만655㏊·영양 6864㏊·영덕 1만6208㏊)로 잠정 집계됐다.

당국은 산불 이후 장마철 산사태와 토사유출 등으로 인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을 정밀히 조사해 당장 응급 복구가 필요한 지역을 선정해 우선 예방사업에 들어갔다.

이번 산불과 관련, 경찰은 최초 발화지인 의성군 안평면과 또 다른 발화지로 추정되는 안계면 용기리에서 실시한 현장 감식 최종 결과를 국과수에서 통보받는 대로 피의자들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경북경찰청 관계자는 “일단 비공개로 피의자들을 불러 진술을 들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