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헤란로] 온실에서 배양된 홈플러스 사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당국이 유동화증권 개정안에서 기업구매카드 채권을 5% 의무보유 룰에서 제외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홈플러스 사태 이후 채권시장의 한 전문가는 "이번 사태는 금융당국의 관리 소홀과 카드사·증권사의 도덕적 해이가 빚어낸 공동 책임"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이 조항이 삭제되자 카드사들은 기업구매카드 기반 유동화증권의 발행한도를 대폭 늘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 사태 이후 채권시장의 한 전문가는 "이번 사태는 금융당국의 관리 소홀과 카드사·증권사의 도덕적 해이가 빚어낸 공동 책임"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그도 그럴 것이 금융당국은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 개정을 추진하면서도 비우량 기업이 개정안의 허점을 파고들 여지를 남겨두었다. 2024년 1월 자산유동화법 개정 시행을 앞두고, 당국은 2023년 기업구매카드 유동화증권을 5% 의무보유 조항의 대상에서 제외했다. 여기서 '의무보유'란 유동화증권의 기초자산을 제공한 자산보유자가 해당 증권의 최소 5% 이상을 직접 보유해야 한다는 규정이다.
이 조항이 삭제되자 카드사들은 기업구매카드 기반 유동화증권의 발행한도를 대폭 늘렸다. 이는 마치 신용불량자에게 '한도 없는 카드'를 내주는 것과 다르지 않다. 신용위험에 대한 내부통제나 리스크 관리 없이 무분별하게 유동화증권을 발행해 온 셈이다.
카드사와 증권사들은 이들 유동화증권을 개인투자자에게 대거 판매하고, 수수료만 챙기면 그만이었다. '도덕적 해이'가 극대화되는 대목이다. 자산보유자가 5% 이상 유동화증권을 보유하도록 하는 규정을 없앤다는 것은, 기업이 자신들의 부실 리스크를 전혀 지지 않겠다는 선언과도 같다.
비우량 유동화증권의 무분별한 발행 확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11월 회사채의 기한이익상실(EOD) 직전까지 총 7000억원에 달하는 유동화증권을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발행했다. 만약 EOD가 트리거가 되어 신용등급 강등으로 이어졌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개인투자자에게 전가됐을 가능성이 크다.
증권사는 대표주관을 맡아 이들 유동화증권을 적극적으로 판매했다. 홈플러스 기업구매카드 기반 유동화증권 발행 규모만 해도 4019억원에 달한다. 그런데 정작 이 카드로 무엇을 구매했고 자금이 어디에 쓰였는지는 파악조차 되지 않는다. 기업구매카드 유동화증권의 치명적 허점이다.
금융당국은 이번 주 중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하고, 이를 패스트트랙으로 검찰에 이첩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 상황이 더욱 아이러니하게 느껴지는 것은 이러한 구조 자체를 가능하게 만든 것도, 이제 와서 강하게 처벌하겠다는 것도 모두 금융당국이라는 점이다.
khj91@fnnews.com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대 구직 여성 연이어 시신으로…남성 정액 발견
- 이용기 국힘 대전시의원, 차량서 숨진 채 발견
- "시동생과 불륜 아내, 시아버지와도 관계" 유재석도 말문이…
- 제주 모 중학교 40대 교사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중
- "故 김새론, 2018년 김수현과 교제? 당시 유명 아이돌 멤버와 사귀어"
- 진서연 "남편, 이태원 클럽서 흔들다 만나…3개월만에 혼인신고"
- 손흥민에 3억 뜯어낸 협박女, 무속인에 8천만원 입금.."우리도 협박 당했다" 주장, 무슨일?
- "낮에는 환자 진료, 밤에는…" 中여의사, 이중생활 이유가
- '필리핀서 손 묶인채 마약 강제 투약 주장' 김나정, 4개월 만에 SNS 재개…미소
- 부모 60억 집 사준 김재중 "동료 연예인 질타 물밀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