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 정책 검토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배당소득과 관련해 감면 혹은 분리과세 같은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2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하며 "배당 소득에 대해 정책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더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당소득에 대해 감면이나 분리과세 같은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며 "장기투자에 대한 세제혜택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배당소득과 관련해 감면 혹은 분리과세 같은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2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을 발표하며 "배당 소득에 대해 정책적으로 필요한 부분은 더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소득세법에 따르면 배당소득이 발생할 경우 14%의 세율만큼 원천징수하게 돼 있다. 여기에 지방소득세 1.4%를 포함하면 실질적인 세율은 15.4%다.
김 부위원장은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해 개인이 배당주에 장기 투자하고 배당수익을 받는 구조가 자리잡아야 한다"며 "그런데 현재는 배당에 대해 세금을 과도하게 부과해 노후 자산 형성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배당소득에 대해 감면이나 분리과세 같은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며 "장기투자에 대한 세제혜택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주주의 경우 배당에 따른 세금 부담이 커 배당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런 점도 우리나라의 낮은 주주환원율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 후보도 배당소득세 완화에 공감한다는 뜻을 내놨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을 만나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후보는 배당 의사를 결정하는 회사의 오너들이 종합과세를 통해 49.5%의 과도한 세금이 적용되고, 이에 배당을 꺼린다는 금융투자업계의 지적에 "배당소득세 개정에 공감한다"면서도 "세수 감소가 우려되는만큼 배당성향이 실제로 올라갈지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지영기자 jy1008@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임기 여성, 아이 안 낳으면 감옥 가야 공평"…여고 교사 발언 조사
- "나의 윤버지"…尹, `윤 어게인` 신당 창당 시도 변호사들과 식사
- "생물학적 여성만 여성, 트랜드젠더는 제외?"…발칵 뒤집힌 이 나라
- "고기 먹었더니 `최소` 먹고 싶다" 글 올린 남성, 징역 6개월…무슨 뜻이길래?
- “아파트 경비원, 테이저건 필요”…소름 돋는 경비실 스티커 테러男 ‘충격’
- 남아공 대통령, 보어인 공격 영상에 트럼프 앞서 진땀
- 초조해진 이재명, `내란 프레임` 재가동
- 1분기 술집·숙박업 매출 10% 폭락… 빚더미에 50만곳 문 닫아
- `어려워도 시장개척`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부타디엔공장 이달말 시운전 돌입
- 누리호, 한화에어로에 연내 기술이전 마무리…美 화성탐사 협력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