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범죄 연간 17조원 피해…AI스캠·시세조작까지 진화

김현지 2025. 4. 21. 14: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 세계 가상자산 범죄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범죄 유형 역시 복잡해지고 지능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이널리시스가 발간한 '2025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상자산 도난 피해액은 22억달러(약 3조1000억원)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피해자가 지불한 몸값은 8억1355만달러(약 1조1871억원)로 전년 대비 35%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가상자산 도난 피해액, 전년대비 21% 증가
Chat gpt로 생성한 이미지

[파이낸셜뉴스] 전 세계 가상자산 범죄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범죄 유형 역시 복잡해지고 지능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이널리시스가 발간한 ‘2025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상자산 도난 피해액은 22억달러(약 3조1000억원)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해킹 건수 역시도 282건에서 303건으로 늘었다. 특히 북한 해커에 의한 공격이 두드러졌다. 북한 해커들은 총 47건의 공격을 통해 13억4000만 달러(약 1조 9000억원)를 탈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보고서는 북한 해커에 의한 공격 규모는 점점 커지고 있으며 일부는 북한 IT 인력의 웹3 기업 내부자 침투와 관련되었다고 분석했다.

스캠(사기) 범죄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스캠 피해액은 최소 99억달러(약 14조원)로 집계됐으며, 특히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범죄 수법이 크게 늘었다. 얼굴 합성 등의 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스캠 콘텐츠 등 범죄 서비스를 통한 매출은 전년 대비 1900% 증가했다.

극단주의 단체의 가상자산 후원 역시 두드러졌다. 특히 북미는 극단주의 단체의 가상자산 후원액이 2000만 달러(약 284억 원)를 넘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2위인 유럽은 190만달러(약 27억 원)에 불과하나,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지역이다. 백인우월주의 단체의 평균 기부금액은 전년 대비 269.47% 증가했다. 음모론, 아나키스트, 반유대주의 및 홀로코스트 부정 단체도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고, 특히 프랑스와 영국의 선거 기간에 기부금 증가 현상이 두드러졌다.

극단주의 단체들은 지지 기반을 넓히기 위해 서로 다른 이념을 혼합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온체인 분석 결과, 개인 기부자들이 여러 단체를 동시에 후원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런 재정적 연결성은 조직의 지속성과 영향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법적 회색지대에 위치해 단속과 보고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시세조종의 경우 지난해 7월 한 달 동안에만 40만개 이상의 신규 토큰이 생성됐으나 이 중최근 30일 내에 실제로 거래된 것은 1.7%뿐이었다. 자전거래 의심 사례는 최대 25억7000만달러(약 3조64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한편 랜섬웨어 범죄 피해는 줄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피해자가 지불한 몸값은 8억1355만달러(약 1조1871억원)로 전년 대비 35% 감소했다. 이는 락빗(LockBit), 블랙캣(BlackCat) 등 대형 랜섬웨어 조직이 해체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다만 랜섬웨어 신규 조직인 ‘랜섬허브(RansomHub)’ 등 새로운 서비스 기반 범죄 그룹이 등장하며 피해자는 여전히 많은 상황이다.

localplace@fnnews.com 김현지 기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