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위기" 단호한 언급...트럼프 취임 이후 벌어진 이례적 현상 [지금이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에서 지금껏 볼 수 없었던 이례적인 현상이 목격되고 있습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현지시간 19일 전직 대통령이 후임자를 공개적으로 비판하지 않는다는 미국 정계의 관례가 깨졌다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은 이날 오클라호마 연방 청사 테러 30주년 추도식에 참석해 현재의 미국 사회를 "조금이라도 더 사익을 얻기 위해 진실을 왜곡해도 상관이 없는 상태"로 규정했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을 직접 입에 올리진 않았지만, 연방제 국가인 미국의 위기까지 언급했습니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도 지난 15일 장애인 단체 행사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의 사회보장제도를 파괴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지난 3일 대학의 자율성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간섭과 공격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현재 생존 중인 전직 대통령 중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을 제외한 민주당 소속 전직 대통령 세 명이 모두 트럼프 대통령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셈입니다.
공화당 소속인 부시 전 대통령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선 비판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같은 상황은 지극히 이례적이라는 것이 미국 역사학자들의 설명입니다.
전직 대통령 1명이 후임자를 공개적으로 비판하는 것도 드문 사건이지만, 세 명이 사실상 동시에 현직 대통령을 비판한 사례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라는 것입니다.
역사학자 티머시 내프탤리 뉴욕대 교수는 "이런 사태가 트럼프 행정부 출범 100일도 되기 전에 벌어졌다는 점이 주목할만하다"라며 "전직 대통령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만드는 변화의 미래를 이미 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전직 대통령들과 트럼프 대통령의 과거 악연이 이 같은 공개 비판 사태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은 물론이고 가족들까지 지속적으로 공격해왔습니다.
지난 2020년 대선 때부터 바이든 전 대통령을 노망난 노인처럼 조롱했습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의 아들 헌터를 마약중독자라고 공격했고, 최근에는 경호까지 중단시켰습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오바마 전 대통령에 대해선 미국에서 태어나지 않았다는 허위 주장을 퍼뜨렸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의 부인 힐러리 전 국무장관에 대해선 2016년 대선 당시 "감옥에 보내야 한다"고 공격했습니다.
이 때문에 민주당 소속 전직 대통령들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선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대선 때 카멀라 해리스 후보 지원 유세에 나선 오바마 전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징징대는 78세 억만장자"라면서 "미친 음모론을 외치는 사람"이라고 비난했습니다.
클린턴 전 대통령도 지난해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나이를 언급하면서 "내가 더 젊다"고 공격하기도 했습니다.
백악관은 전직 대통령의 잇따른 후임자 비판 발언에 대해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자막편집 : 정의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제보는Y] "차 없으면 전기자전거 신청 못 해"?...수백 대 방치
- 탄핵 결정문에 나오는 '대한국민'...어떤 의미일까?
- ADHD 치료제 품귀...'공부 잘하는 약' 수요 탓?
- "운전 안 하면 50만 원"...면허 자진 반납 대폭 증가
- "상습범 또 왔네"...게임장 돌며 돈 뜯은 44명 검거
- 택시가 인도 돌진...행인 1명 사망·1명 심정지
- 김민석 총리 임명..."폭정 세력이 만든 위기 극복"
- 김건희 특검, 삼부토건 동시다발 압수수색...1호 수사 개시
- 트럼프의 한 마디에 결국 바뀐 대통령의 얼굴
- 김성태, 나경원 향해 "농성을 하려면 제대로! 삭발을 하든지" [앵커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