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남아있는 매캐한 탄내, 의성 산불 한 달[현장 화보]

이준헌 기자 2025. 4. 20. 16: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는 21일로 영남 지역을 초토화시킨 동시다발 산불이 발생한 지 한달이 되는 가운데 20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과 인근의 산불 피해지역이 까맣게 그을려 있다. 2025.4.20 이준헌 기자

오는 21일로 영남 지역을 초토화한 동시다발 산불이 발생한 지 한 달이 된다. 산림청은 18일 지난달 영남지역 대형산불의 전체 피해면적이 10만4000ha로 잠정 파악됐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의성 등 경북 5개 시군에서 발생한 산불의 피해면적만 9만9289ha에 이른다. 시군별로는 의성이 2만8853ha로 가장 많은 산림 피해를 보았고, 안동 2만 6709ha, 청송 1만 665ha, 영덕 1만 6208ha, 영양 6864ha로 집계됐다.

오는 21일로 영남 지역을 초토화시킨 동시다발 산불이 발생한 지 한달이 되는 가운데 20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의 한 과수원에 있는 불 탄 나무 위에 벚꽃이 떨어져 있다. 2025.4.20 이준헌 기자
오는 21일로 영남 지역을 초토화시킨 동시다발 산불이 발생한 지 한달이 되는 가운데 20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의 한 밭에서 농민이 불에탄 산을 바라보고 있다. 2025.4.20 이준헌 기자

20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에 들어서자 매캐한 냄새가 제일 먼저 코끝에 닿았다. 탄내는 한 달이 넘도록 의성에 내려앉아 있었다. 구례1리에서 만난 임종섭씨(68)는 “언론에서 쑥대밭이라고 표현하는데 그건 틀린 표현이다”라며 “쑥대밭을 넘어선 대재앙이었다”고 말했다. 하늘에서 불 비가 내리는데 피할 곳이 없었다는 말도 덧붙였다. 앞산이 아래쪽 밭부터 산 정상까지 하나의 큰 불덩어리였다고 했다. 길을 너머 마당 안까지 열기가 닿아 숨쉬기가 힘들어질 때쯤 하늘에서 불비가 내렸다고 한다. 그 불비에 임씨의 앞집과 옆집이 불에타 무너져 내렸다.

오는 21일로 영남 지역을 초토화시킨 동시다발 산불이 발생한 지 한달이 되는 가운데 20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에서 마을 주민 임종섭(68세)씨가 불에 타 무너진 이웃 집을 돌아보고 있다. 2025.4.20 이준헌 기자
오는 21일로 영남 지역을 초토화시킨 동시다발 산불이 발생한 지 한달이 되는 가운데 20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과 인근의 산불 피해지역이 까맣게 그을려 있다. 2025.4.20 이준헌 기자

복구는 더디기만 하다. 국립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토양은 100년, 야생동물은 35년, 산림의 골격을 갖추는 데만 30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될 정도라 한다.

오는 21일로 영남 지역을 초토화시킨 동시다발 산불이 발생한 지 한달이 되는 가운데 20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구계리의 가옥들이 불에 타 무너져 있다. 2025.4.20 이준헌 기자

이준헌 기자 heo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