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저스-텍사스 노하우 직접 듣는다… 추신수 미국행, SSG 육성 참고서 제작 시작

김태우 기자 2025. 4. 18. 14:0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미국 메이저리그 구단들의 육성 시스템 노하우를 듣기 위해 출국하는 추신수 SSG 구단주 특별보좌역 겸 육성총괄 ⓒSSG랜더스

[스포티비뉴스=인천, 김태우 기자] 지난 시즌을 끝으로 화려했던 현역 생활의 마침표를 찍은 뒤 올해 SSG 구단주 특별보좌역 겸 육성총괄로 부임한 추신수 특별보좌는 눈코 뜰 새 없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동에 번쩍, 서에 번쩍이다. 휴대전화에 저장된 일정표를 보면 빨간 날, 즉 쉬는 날이 거의 없다. 한 달에 이틀 정도다.

캠프 때부터 바빴다. 1군 플로리다 캠프, 2군 가고시마 캠프, 1군 오키나와 캠프로 이어지는 빡빡한 일정이었다. 1군에 부족한 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2군에서 그것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시기였다. 3군도 찾아 회식을 주최하며 빠짐없이 챙겼고, 최근에는 신세계 이마트배 고교야구대회 현장을 누볐다. 예선이 열리는 밀양에서 오래 체류했다. 전국 모든 팀들이 참가하는 대회라 주목할 선수를 원 없이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처럼 1군보다 육성 시스템 정비에 주력하고 있는 추 특별보좌는 이제 미국에서 또 다른 계획에 나선다. 추 특별보좌는 미국으로 출국해 약 한 달 정도 체류할 예정이다. 현지에서 메이저리그 구단들을 만나 스카우트 및 육성 시스템을 중심으로 벤치마킹에 나선다.

당초 조금 더 한국에 있다가 출국할 예정이었지만 생각보다 미국행 일정이 조금 당겨졌다. 특별한 인연 때문이다. 추신수가 텍사스 소속일 당시 감독 중 하나였던 크리스 우드워드 현 LA 다저스 코치가 중심에 있다. 우드워드 전 감독과 연락이 닿은 추 특별보좌는 직접 많은 이야기를 듣기 위해 미국으로 가기로 했다. 통화와 대면은 아무래도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 추신수 특별보좌는 텍사스와 다저스 구단 관계자들을 만나 그간 궁금했던 육성 노하우를 최대한 묻고 담아온다는 계획이다ⓒSSG랜더스

여전히 텍사스 구단 인사들과 가까이 지내고 있기에 이왕이면 다저스와 텍사스가 경기를 할 때 미국행 일정을 잡기로 했다. 텍사스는 19일부터 21일까지 다저스와 홈 3연전을 치른다. 당초 5월쯤 예정이었던 출국 일정이 서둘러 당겨진 이유다. 텍사스 구단은 추 특별보좌의 방문 소식에 프리패스 티켓에 원하는 인사의 면담까지 모든 만반의 준비를 마치며 반겼다. VIP 대우다. 추 특별보좌도 “고맙게도 텍사스 쪽에서 자리를 마련해줬다”고 했다.

이번 미국행의 핵심은 ‘질문’이다. 추 특별보좌도 “나도 마이너리그 생활을 해봤지만 그게 벌써 20년 전이다. 지금과는 완전히 다를 것”이라고 했다. 달라진 것이 무엇인지, 메이저리그 최신 트렌드는 무엇인지, 메이저리그 구단들은 스카우트 및 육성을 어떤 포커스를 맞춰놓고 하는지를 폭넓게 조사할 예정이다. 다저스와 텍사스 모두 리그를 선도하는 프런트 오피스를 갖춘 구단이다. 영어로 의사소통이 자유롭고 현장 경험이 있는 추 특별보좌이기에 더 세심한 질문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신의 궁금증 뿐만 아니라 구단의 궁금증도 같이 풀어나간다. 추 특별보좌는 “육성 및 스카우트 등에서 메이저리그에 궁금한 것이 있으면 리스트로 다 뽑아달라고 했다”고 설명했다. 구단 관계자들이 합심해 리스트를 만들었고, 추 특별보좌는 그 질문지를 가지고 태평양을 건넌다.

▲ 1군과 잠시 떨어져 구단 육성 및 스카우트 시스템 구축에 전념하고 있는 추신수 특별보좌 ⓒSSG랜더스

추 특별보좌는 “텍사스 등 메이저리그 구단 관계자들에게 물어보려고 한다. 이야기를 들어보고 도움이 될 수 있는 부분을 찾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사실 야구 발전은 미국부터 시작해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즉, 지금 한국 구단이 꽉 막히고 고민하는 부분은 메이저리그 구단에서 10~20년 전에 다 겪었던 고민일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먼저 그 숙제를 풀어봤던 이들이기에 적잖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물론 듣는다고 해서 이걸 100% 다 가져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메이저리그는 물론 KBO리그도 4년을 경험하며 환경과 인프라 차이를 느낀 추 특별보좌는 항상 “메이저리그에서 좋은 것이 있다고 해서 우리 야구에 모두 접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한다. 다만 그런 인사이트를 얻어 차츰차츰 인내심을 가지고 적용하다보면 좋은 성과가 나올 것이라는 기대다. SSG는 청라돔 개장을 앞두고 리모델링을 한창 진행하고 있고, 올해 추 특별보좌 부임 이후 육성 매뉴얼도 적극적으로 수정하고 있다. 이 수정본에 좋은 참고서를 마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추신수 특별보좌는 구단의 궁금증을 가지고 직접 태평양을 건넌다 ⓒ곽혜미 기자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스포티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