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담배 판매량 2년 연속 감소…연초 줄고 전자담배 늘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국내 담배 판매량이 전년보다 2.2% 감소하면서 2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담배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담배 판매량은 총 35억3000만갑으로 전년(36억13000만갑)보다 2.2% 감소했다.
면세 담배 판매량을 고려한 실질 담배 판매량도 전년보다 1.7% 감소한 36억83000만 갑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궐련(연초) 담배 판매량은 28억73000만 갑으로 1년 전보다 4.3% 감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사저널=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지난해 국내 담배 판매량이 전년보다 2.2% 감소하면서 2년 연속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담배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담배 판매량은 총 35억3000만갑으로 전년(36억13000만갑)보다 2.2% 감소했다. 지난 2022년 36억33000만 갑을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줄었다. 면세 담배 판매량을 고려한 실질 담배 판매량도 전년보다 1.7% 감소한 36억83000만 갑으로 집계됐다.
연초 판매량은 감소를 이어간 반면 전자담배 비중은 늘어나는 추세가 계속됐다. 지난해 궐련(연초) 담배 판매량은 28억73000만 갑으로 1년 전보다 4.3% 감소했다. 궐련 판매는 2021년부터 4년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반면 궐련형 전자담배는 6억63000만 갑으로 전년보다 8.3%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에서 전자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8.4%를 기록했다. 전자담배 비중은 지난 2017년 2.2%에서 2019년 10.5%로 급증한 이후 2021년 12.4%, 2022년 14.8%, 2023년 16.9%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담배 판매로 걷힌 제세 부담금은 11조73000억원으로 집계돼 전년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 가격이 인상된 영향으로 2014년(7조원)과 비교해 67.1% 증가했다.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문수 회고록’ 나온다…‘노동 운동’부터 ‘계엄 반대’까지 가치관 담겨 - 시사저널
- 바둑판의 전설, 이기고 지는 데 도리 없는 《승부》 - 시사저널
- [강준만 시론] 윤석열, 왜 자폭했을까? 그가 역사에서 살아남는 법 - 시사저널
- 김용빈 “저에게 모든 걸 쏟으신 할머니 위해 노래 부른다” - 시사저널
- 가족을 욕정의 제물로 삼은 광기의 연쇄살인마 [정락인의 사건 속으로] - 시사저널
- [단독] 尹 지지자 주축된 ‘국민수사대’, 민주당발 가짜뉴스 언중위 제소한다 - 시사저널
- 이치로가 우상이지만, 이정후는 그와 가는 길이 다르다 - 시사저널
- 활동 중단에 ‘혐한’ 인터뷰까지…뉴진스의 행보 괜찮나 - 시사저널
- ‘장구의 신’ 박서진 “《현역가왕2》 우승 순간, ‘큰일 났다’ 생각” - 시사저널
- “10분 늦을 때마다 10만원씩 이자가 더 쌓입니다” - 시사저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