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①해수부 부산 이전 ②대구 AI로봇 육성… 영남권 찾아 ‘선물 보따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3 대선 유력 주자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8일 "대한민국의 해양강국 도약과 현장 중심 정책 집행을 위해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 메가시티를 대한민국 해양 수도로 만들겠다"라며 "해운·물류 관련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고 해사 전문법원도 신설해 해양 강국 기반을 탄탄히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3 대선 유력 주자인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8일 “대한민국의 해양강국 도약과 현장 중심 정책 집행을 위해 해양수산부를 부산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균형발전을 위해 정부부처 이전 공약을 내세운 것이다.
부울경 두고 "해양강국 중심으로 만들겠다"
이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영남 지역 발전 방안에서 “부산을 명실상부한 해양 강국의 중심으로 만들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대표는 “부울경(부산 울산 경남) 메가시티를 대한민국 해양 수도로 만들겠다”라며 “해운·물류 관련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고 해사 전문법원도 신설해 해양 강국 기반을 탄탄히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제2도시’인 부울경이 수도권 집중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는 게 이 전 대표의 인식이다. 이 전 대표는 “수도권 집중과 산업전환의 도전이라는 이중고 속에 일자리는 사라지고, 기회를 잃은 청년들은 떠나고 있다”라며 “여기서 멈출 수는 없다. 오늘의 대한민국을 만든 부울경의 저력은 세계를 주도할 대한민국의 미래와 만날 가능성과 잠재력으로 준비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북극항로 개척, (남북) 대륙철도 연결, 부울경 30분대 생활권 구축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의 중심인 울산을 두고는 “현대자동차 등 완성차기업은 물론 부품기업의 미래차 산업전환도 적극 지원하겠다”라며 “울산의 자동차·석유화학·조선산업을 글로벌 친환경 미래산업의 선도주자로 키우겠다”고 했다.
대구에는 "2차전지 산업벨트 구축"
대구·경북 지역 발전 방안도 내놨다. 그는 “성장 엔진 재가동으로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신화, 대구경북의 재도약을 이끌겠다”고 약속했다. 2차전지 산업벨트를 구축하고 AI(인공지능)로봇산업을 집중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안동에 태(胎)를 묻고, 제 뼈와 살과 피를 만들어 준 대구경북의 아들, 대구경북 출신 민주당 경선 후보 이재명이 대한민국 경제 성장의 신화, 대구경북의 재도약을 이끌겠다”고도 했다. 경북 안동 태생임을 강조하면서 보수 유권자의 지지도 이끌어내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정지용 기자 cdragon25@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무현도 접었던 세종 수도... '위헌 논란·민심·수도권 반발' 넘어야 | 한국일보
- "입에서 입 '러브샷' 시켰다"... 조선대 신입생 MT 성희롱 논란 | 한국일보
- 81세 장영자 다섯번째 수감... 그가 사기 범죄 반복하는 이유는 | 한국일보
- "엄마 때문에 누명 쓰고 전과자 돼"... 최홍림, '40년 절연' 형 고백에 충격 | 한국일보
- '윤 어게인' 신당 창당 보류... "윤석열이 만류했다" | 한국일보
- "'충암의 아들' 尹, 학교 역사에 남을 것"... 충암고 총동문회 게시글 논란 | 한국일보
- 김문수 "'반명 빅텐트' 필요... 한덕수·유승민·김부겸과도 단일화" [인터뷰] | 한국일보
- [단독] 김선호 국방 대행 "샹그릴라 불참" 가닥… 코리아 패싱 자초할라 | 한국일보
- 이국종에 맞장구친 안철수... "문과X들 해 먹는 나라, 이과생이 끝내겠다" | 한국일보
- 권력과 돈에 갇힌 보수, 윤석열 내려놔야 살 수 있다 |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