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좁아진 의대 입시문… 고3-N수생 혼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17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공식 발표하면서 의대 증원을 감안해 입시를 준비하던 수험생들은 혼란에 빠졌다.
2025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전년보다 1509명 늘었는데, 갑자기 1년 만에 다시 1509명이 줄어 최상위권 입시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모집인원 변경에 따라 최상위권 입시 전략이 달라지면 상위권과 중상위권의 합격 점수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상위권 자연계열 합격점까지 영향
황금돼지띠 고3 작년보다 4만명 ↑
종로학원이 2025학년도 대학입시 합격 점수를 발표한 서울권 의대 2곳, 지방권 의대 11곳 등 13개 대학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방권 소재 의대는 2024학년도 대비 의대 증원이 이뤄진 2025학년도 수시·정시모집 합격 점수가 모두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권 의대 11곳의 수시 학생부 교과전형 평균 합격선은 1.17등급에서 1.28등급으로 0.11등급 하락했고, 정시 평균 합격 점수는 97.62점에서 96.76점으로 0.86점 하락했다.
의대 모집인원 규모는 치대, 한의대 등 의약학계열 및 상위권 자연계열 합격 점수까지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게다가 이번 고3 수험생 수는 지난해보다 4만 명(10%) 늘어난 약 46만8000명이다. 황금돼지 해였던 2007년생은 출생아가 예년보다 많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입시업계에선 2026학년도 의대 합격선은 전 지역에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모집인원 변경에 따라 최상위권 입시 전략이 달라지면 상위권과 중상위권의 합격 점수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의대 모집인원 동결의 법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지난해 공고됐던 2026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시행계획도 변경된다. 수험생은 다음 달까지 재공고되는 시행계획과 수시모집 요강을 참고해야 한다.
김민지 기자 minji@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文정부와 선긋기…탈원전 폐기수순-부동산세제 완화
- [사설]‘안정적 관리자’ 소임 잊고 ‘불안의 축’이 된 韓 대행
- [사설]결국 실패로 끝난 의대 증원… 그래도 의료 개혁은 계속돼야
- [사설]용산 압수수색 또 불발… 대통령도 없는데 누가 왜 막나
- [횡설수설/박중현]美-日 관세 협상에 깜짝 등판한 트럼프
- [데스크가 만난 사람]“‘폭싹 속았수다’ 등 K콘텐츠 성공비결은 韓 특유의 공동체의식 덕”
- [오늘과 내일/김현수]환율전 베테랑 나섰다… 판 달라진 관세협상
- 찬탄 한동훈 vs 반탄 홍준표·나경원·이철우…‘죽음의조’ 20일 격돌
- “세종 행정수도 완성”…민주 세 후보, 스윙보터 ‘충청 표심’ 경쟁
- 반도체특별법·은행법·가맹사업법, 민주당 주도 패스트트랙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