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농촌…지난해 10명 중 4명이 70세 이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농촌 고령화로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가 전체의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명 중 4명은 70세 이상으로, 전체 연령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70세 이상의 비중은 전년보다 2.3% 증가한 39.2%에 달했다.
전체 연령 중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농가 수 97.4만 가구로 전년比 2.5% 줄어
65세 이상 인구 비율 55.8%…70세 이상은 39.2%
10대 이하 전년보다 35.4% 줄어들어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농촌 고령화로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가 전체의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10명 중 4명은 70세 이상으로, 전체 연령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10대 이하 젊은 연령은 인구가 크게 줄어들며 고령화가 가속하는 모양새다.
같은 기간 농가 인구도 4.1% 감소한 200만 4000명으로 200만명을 간신히 넘겼다. 올해를 지나면 농가인구도 200만명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도 심각하다. 지난해 65세 이상의 고령 인구 비율은 55.8%로 전년 대비 3.2%포인트 높아졌다. 전체 농가의 절반 이상이 고령 인구인 셈이다. 특히 70세 이상의 비중은 전년보다 2.3% 증가한 39.2%에 달했다. 전체 연령 중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반면 10세 미만(-21.0%), 10대(-14.4%), 40대(-11.5%) 등은 인구가 오히려 줄어들었다.
시도별로 보면 농가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북으로 16만 3000가구였다. 뒤를 이어 전남(13만 9000가구), 충남(11만 3000가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농가 중 대부분은 경지 규모가 1㏊(헥타르) 미만이었다. 농가의 절반 이상인 52.9%는 경지 규모가 0.5ha 미만이었다. 21.1%의 농가는 경지 규모가 0.5~1㏊였다. 1~2ha 미만 농가는 13.6%였고, 5ha 이상 농가는 3.4%에 불과했다.
농가 비율 중 논벼를 재배하는 농가가 전체의 37.4%로 가장 많았다. 채소·산나물은 22.4%, 과수 17.1%, 식량작물 9.0% 등의 순이었다.
농축산물 판매 금액이 1000만원 미만인 농가는 64.3%에 달했다. 1년 전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1억원 이상인 농가는 4.2%로 작년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김은비 (demeter@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세종을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만들겠다”
- "당장 무너졌을 수준" 신안산선, 설계부터 잘못됐다
- '환자 15명 살해' 40대 의사 체포…"피해자 더 있을수도"
- 젖병 씻던 사장 아내 성폭력 후 도주한 직원
- 집에서 포경수술 하다...45일 된 남아 과다출혈로 사망
- ‘이재명 테마주’ 상지건설, 거래정지 풀리자 또 상한가[특징주]
- [단독]이자장사 대박친 5대 은행, '신용평가 이의제기'엔 소극적
- "살인마 변호 싫다"…변호사도 포기한 '안인득 사건' [그해 오늘]
- 독박육아 힘들어 3일 시댁 맡겼더니...“아이 못 볼 줄 알아”[사랑과전쟁]
- '야당' 유해진 vs '승부' 이병헌…동갑내기 연기神 스크린 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