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급 회담에 직접 나온 트럼프…미일 관세 회담서 방위비 꺼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일 장관급 회담에 돌연 참석을 선언한 가운데 두 나라가 17일(미국시각 16일 오후) 첫 관세 협상에 돌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에 앞서 ‘방위비 협상 카드’까지 거론한 뒤 회담이 개시되자 미국 정부가 관세 협상 조기타결에 조급함을 드러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날 미국 정부가 워싱턴 디시(D.C) 백악관 대통령 집무실에서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과 관세 관련 회담을 가졌다고 보도했다.
미국 쪽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해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여해 일본 장관 1명을 상대로 ‘4대1 압박 회담’을 하는 모양새가 됐다.
트럼프 정부는 애초 우선 협상 대상국의 하나였던 일본과 이날 첫 회담에는 베선트 재무장관, 그리어 대표가 참여할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당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일본이 지금 관세와 군사지원, 무역 공정성을 협상하기 위해 (미국으로) 오고 있다”며 “나는 재무부, 상무부 장관과 함께 회담에 참석할 것”이라며 전격적으로 직접 참여 입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이 협상을 위해 방미 비행기에 탄 시간대에 협상 상대국 대통령이 인사치레가 아닌 협상 당사자로 참석하겠다고 밝히는 것은 이례적이다.
일본 쪽에서는 장관급 회담 당일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 뜻을 밝힌 데 대해 당황한 기색이 역력하다. 아사히신문은 “일본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일단 미국 움직임을 탐색하고 싶다는 생각이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참석 소식이 전해지면서 정부 내부에 충격이 확산했다”고 보도했다. 실제 일본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 글을 올린 직후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이 외무성 간부들을 호출해 긴급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하야시 관방장관은 대응 회의 직후 기자들에게 “(트럼프 대통령이 참여하는) 새로운 상황에 대한 준비를 했다”며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도 소통이 원활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외무성 내부에서는 “통상적 전례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아카자와 장관과 직접 협상하는 것은 절대 불가능하다. 일본에서 협상을 위해 왔으니 얼굴을 내미는 정도면 됐을 텐데, (협상이) 어떻게 될지 전혀 알수 없다”는 반응이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전까지 두 나라는 모두 주요 의제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참석 소식을 알리면서 ‘군사 지원’ 문제를 꺼내들어 관세, 무역 불균형 문제와 함께 주일 미군 방위비 문제를 협상 테이블에 핵심 의제로 올리겠다는 뜻도 드러냈다. 방위성 내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방위비 협상’ 관련 언급에 대해 “처음 듣는 얘기일 뿐더러, 관련한 준비도 없었다”며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본 정부 내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에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이 확답을 하기 어려운 사안들이 있을 수 있는 만큼, 이시바 총리가 나서 이른 시일에 미국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과 직접 담판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된다.
일본 쪽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의도를 공개하면서 관세 유예 90일이 끝나기 전에 빠른 결론을 낼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첫 협상부터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이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로 버거운 협상을 벌이면서 일본이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될 것이란 우려도 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아사히신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에게 요구한 사항의 (일본 정부의 공식적인) 답변을 가져오라고 이시바 총리에게 요구할 수도 있다”며 “이시바 총리가 다음주께 미국을 방문하는 상황이 일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일본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런 회담 참여 결정이 미국 정부의 다급함을 보여주는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정부가 80여개국에 동시다발적으로 상호 관세를 발효한 뒤, 미국 금융시장의 주식·통화·채권 등이 ‘트리플 하락’에 빠진 것을 비롯해 세계 경제가 침체 조짐을 보였다. 미국 정부가 곧바로 90일 관세 유예 조처를 취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3개월이 지나면 비슷한 상황이 또 일어날 수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국 정부의 관세 유예조처 이후에도 시장 불신이 이어지고 있다”며 “관세 협상이 난항을 겪으면서 성과를 거두지 못한 채 상호 관세가 다시 부과되는 것은 미국이 피하고 싶은 시나리오일 것”이라고 풀이했다.
다만 일본 엔에이치케이(NHK) 방송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에 앞서 1시간 가량 아카자와 경제재생상과 면담한 뒤, 장관급 협상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동맹국인 일본과 협상에 무게를 싣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이 중국과 100% 넘는 추가 관세를 맞받으며 ‘관세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동맹국인 일본과 협상에서 균열을 일으키는 게 중국에 미국의 약점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에 참여하기로 한 것은 그가 생각하는 세계 무역 분야에서 일본이 특별한 위치에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도쿄/홍석재 특파원
forchis@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한은 총재도 최상목 ‘미 국채 2억’ 두고 “부적절…의심 살 수 있다”
- 이재명 “임기 내 세종 대통령 집무실·국회의사당 건립”
- 장관급 회담에 직접 나온 트럼프…미일 관세 회담서 방위비 꺼내
- [속보] 한은 기준금리 동결…연 2.75% 유지
- ‘포스코이앤씨’ 신안산선 붕괴 사망자, 지하 21m 토사물에 매몰
- 한덕수 ‘알박기’ 막은 김정환 변호사 “교과서 남을 판례…‘9-0’은 의외”
- [단독] 박성재 격노 뒤 출입국본부장 돌연 사직…‘윤 출국금지 공개’ 탓?
- 권성동, 질문하는 기자 손목 잡아채 끌고가 “지라시 취재는 거부”
- 엊그제는 눈, 오늘은 반팔?…낮 최고 27도 ‘여름 날씨’
- 인간 치아 만들기 성공…“임플란트보다 튼튼, 거부반응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