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중 택해라"…트럼프, '중국 고립 카드' 꺼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택해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 상대국에 관세율을 낮춰주는 대가로 중국과의 무역 거래를 줄이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최고경영자)는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관세 정책을 통해) 우리가 성취하려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아야 한다"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전쟁 때문에 미국의 신뢰도가 깎일 수 있다며 중국과의 협상을 촉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베선트 장관 주도…중국 협상테이블로 끌어내려는 의도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택해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 상대국에 관세율을 낮춰주는 대가로 중국과의 무역 거래를 줄이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우방국·경쟁국을 가리지 않고 '모두까기'식으로 발표된 상호관세에 대한 협상 중심추가 사실상 무역 상대국들을 동원한 '중국 때리기'로 이동하는 모양새다.
1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백악관이 무역 및 관세 장벽을 완화하는 대가로 무역상대국에 중국 경제를 고립시키는 데 동참하라고 요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70개국 이상과의 상호관세 협상을 통해 중국이 해당 국가를 경유해 상품을 운송하거나, 중국 기업이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해 해당 국가에 진출하는 것을 금하겠단 방침이다. 이를 통해 중국의 저렴한 산업재가 주요 무역상대국 경제에 흡수되지 않게끔 차단한다는 계산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일부 국가들과의 초기 상호관세 회담에서 이 같은 조치를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파나마의 중국 '일대일로' 사업 참여 중단 결정에 대해 "각국이 미국과 중국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전략은 중국을 협상 테이블에 나오게끔 압박하는 조치로도 볼 수 있다.
WSJ은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이 이 같은 전략을 트럼프 지난 6일 마러라고 회동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안했다고 전했다. 베센트 장관은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 이후 무역 협상에서 주도적 역할을 맡고 있다. 베센트는 중국을 제외한 다른 무역상대국들에게 양보를 이끌어내 중국이 미국의 관세와 수출 통제는 물론 기타 경제적 조치를 우회하거나 피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본다.
베센트 장관은 이전에도 멕시코 등 무역 상대국에 '반중 서약' 의지를 드러낸 바 있다. 2월말 멕시코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에 부과겠다고 밝힌 관세에 대해 협상하면서 협상 카드로 미국의 중국 관세에 상응하는 관세를 중국에 부과하겠다고 제안했다. 베센트 장관은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당시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큰 호응을 얻진 못했다.
베센트 장관은 한국을 비롯해 일본, 영국, 호주, 인도 등이 조만간 미국과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국가들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주요 우방국 무역 문제부터 해결해 중국에 대항할 편을 만들려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이 미국의 공격에 맞서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오히려 초조해졌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CEO(최고경영자)는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관세 정책을 통해) 우리가 성취하려는 것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아야 한다"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전쟁 때문에 미국의 신뢰도가 깎일 수 있다며 중국과의 협상을 촉구했다.
중국은 이런 미국에 맞서며 독자적 무역 외교를 펼치고 있다. 상호관세 여파로 미국으로부터 이탈하는 국가들과 결속을 다지는 기회로 삼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주 시진핑 주석은 미국으로부터 고율 상호관세를 맞은 베트남을 시작으로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 3개국 순방을 진행 중이다.
그러나 피터 해럴 전 미국 국가안보위원회 국제경제 담당 수석이사는 "미국이 대규모 '순수입국'인 반면 중국은 수입을 줄이고 자급자족에 집중하고 있다"며 "중국이 개발도상국들이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수요처로서 미국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실적으로 동남아 국가들은 미국 시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박수홍 아내 김다예 충격의 건강상태…의사 "70대 할머니 수준" - 머니투데이
- "반바지도 못 입어" 이지훈, 10년째 앓는 '이 병' 뭐길래 - 머니투데이
- 김동성 똥오줌 청소 사진 올리더니…♥김민정 "돈 없다 징징대지마" - 머니투데이
- '홈쇼핑 대박' 심진화, ♥김원효에 포르쉐 선물…"지금은 팔았다" 왜? - 머니투데이
- 89세 이순재 건강상태, 시상식도 못갈 정도…"거동 불편" - 머니투데이
- 故서희원 묘소 앞 구준엽 야윈 모습…옆엔 반도 못 먹은 국수 그릇 - 머니투데이
- "고시원 옆방서 악취, 알고 보니 시체"…한해, 데뷔 전 경험담 깜짝 - 머니투데이
- 유정과 결별 1년만 열애?…이규한, 유명 여가수와 커플 성사 - 머니투데이
- [단독]만취 벤츠남, 강남 도로서 포크레인·SUV '쾅쾅'…2명 부상 - 머니투데이
- "역대급 호황기 온다"…수십조 원 '마스가'에 조선 관련주 강세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