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뇨스 현대차 사장 “관세에도 차값 유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사진)이 미국의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에도 미국 시장 자동차 가격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고 했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의 약 31조 원 미국 투자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관세가 부과된 것에 대해 "정부의 인센티브나 관세 때문에 투자를 결정한 것은 아니다"라며 "우리에게 미국은 가장 중요한 시장"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엄청난 인상 안해… 시장이 결정”
美시장서 당분간 인상 자제할 듯
무뇨스 사장은 15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하룻밤 사이에 엄청난 (가격) 인상을 보게 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않는다”며 “시장이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이달 3일부터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수입차에 대해 관세 25%를 부과했지만, 당장 자동차 가격 인상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란 견해로 해석된다.
무뇨스 사장은 완성차 제조업체들이 부담해야 하는 관세가 모델의 가격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가격이 낮은 차량일수록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높아 쉽게 가격을 올릴 수 없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제품 가격이 낮은 엔트리 차량의 가격이 한꺼번에 3000∼4000달러씩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낮은 가격의 제품을 사는 소비자는 차량 가격 변동에 민감해 제조사가 가격을 올리면 차를 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현대자동차그룹은 미국 내 자동차 가격을 인상하지 않고 당분간 유지할 방침이다. 앞서 무뇨스 사장은 3일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미국 시장에서 가격을 인상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현대차 미국법인도 6월 2일까지 두 달간 권장소매가(MSRP)를 인상하지 않는 ‘고객 보증’ 프로그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무뇨스 사장은 이러한 가격 정책의 효과가 “판매 실적에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의 약 31조 원 미국 투자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관세가 부과된 것에 대해 “정부의 인센티브나 관세 때문에 투자를 결정한 것은 아니다”라며 “우리에게 미국은 가장 중요한 시장”이라고 말했다.
김형민 기자 kalssam35@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헌재 “권한대행이 재판관 지명, 극심한 혼란 생길 것”
- [사설]“극심한 혼란 발생”… 헌재가 제지한 韓의 재판관 지명 ‘월권’
- [사설]증원 1년 만에 포기, ‘트리플링’ 현실화… 병만 키운 돌팔이 정책
- [사설]“한반도+중국海 ‘원 시어터’로”… 日 영향력 확대 의도 경계해야
- [송평인 칼럼]대선 경쟁이 팽팽해지기 위한 3가지 조건
- [단독]내란종식 내건 이재명, ‘민간인 국방장관’ 대선공약 추진
- 美, 저성능 AI칩도 中수출 통제… 관세전쟁, 반도체로 확전
- 대통령실 압수수색 시도… 경찰, 尹파면 후 첫 수사
- 절대강자 없는 국힘 경선… 의원들 ‘어디에 줄서나’ 눈치게임
- 이재명 싱크탱크 “지방 2주택 감세”… 김경수-김동연은 증세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