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 올린 김정기 대구시장 대행 체제···사업 연속성·불통 행정 극복 과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앵커▶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대선 출마로 사퇴하면서 대구시는 김정기 행정부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했습니다.
◀기자▶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표류했던 대구시의 주요 핵심 사업들이 '조기 대선'과 '새 정부 구성'이라는 또 다른 암초를 만났습니다.
홍 전 시장이 전임 시장의 정책을 막무가내로 수정하거나 폐기했듯, 차기 시장과 새 정부의 기조에 따라 정책과 사업이 바뀔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대선 출마로 사퇴하면서 대구시는 김정기 행정부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했습니다.
새 정부가 들어서는 과도기를 포함해 앞으로 1년 2개월가량 대구시 수장의 공석을 어떻게 메우느냐가 중요한데요.
지역 핵심 사업의 연속성을 살리고, 홍 전 시장이 보여 준 불통· 독단의 시정 운영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킬지가 관건입니다.
박재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윤 전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표류했던 대구시의 주요 핵심 사업들이 '조기 대선'과 '새 정부 구성'이라는 또 다른 암초를 만났습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 대행은 현안 사업을 대선 공약화하는 데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신공항 건설과 행정 통합,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등 20개 핵심 사업으로 78조 원 규모에 이릅니다.
대구시는 시정 핵심 사업들이 본궤도에 올랐다며 행정 공백 우려에 선을 그었지만, 갈 길은 험난합니다.
대구경북신공항은 정부에서 사업비 13조 원을 빌리는 내용의 '공공자금관리기금' 마련이 핵심입니다.
하지만 돈줄을 쥔 기재부와의 협상 난항, TK 신공항 특별법 2차 개정안의 국회 계류 등으로 큰 난관에 부딪히며 최근에는 '국비 지원' 요구까지 거론되고 있습니다.
탄핵 국면에서 멈춰버린 대구·경북 행정 통합 논의도 정부의 통합 지원단과 범정부 협의체 구성이 새 출발점이지만, 제자리걸음입니다.
대구 취수원 안동댐 이전 사업도 일부 주민과 환경단체의 강한 반발 등으로 국가 차원의 관련 심의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그나마 대구 군부대 최종 이전지는 확정됐지만, 이전 터 개발 등 돌파해야 할 난관은 수두룩합니다.
◀대구시의원▶
"사퇴한 전 시장이 잘못된 정책으로 인해서 시민 사회나 또 여러 시민들 사이에서 거기에 대한 비판 여론이 있다면 이런 것은 촉구해서 정책을 변경하거나 최소한 또 고민해야 한다"
특히 홍 전 시장이 일방통행식으로 밀어붙인 지역 현안 사업들은 다수 야당의 협조, 정부 지원, 경북도와의 협력 등이 없으면 '빛 좋은 개살구'로 전락할 수 있습니다.
홍 전 시장이 전임 시장의 정책을 막무가내로 수정하거나 폐기했듯, 차기 시장과 새 정부의 기조에 따라 정책과 사업이 바뀔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대구시 관계자▶
"공석이니까 시장 자리가. 장기적으로 봐서는 손해 아닌가 이런 생각도 들고. 직원들끼리는 (홍 전 시장이) 우리 대구시는 그러면 (대선을 위한) 발판 삼으려고 그냥 왔나 말하고···"
대행 체제가 직면한 과제는 또 있습니다.
홍 전 시장이 보여준 불통·독단의 시정 운영 방식을 시민 동의와 참여를 바탕으로 시정을 개혁하고, 기존 사업들을 재검토하라는 요구는 거세질 전망입니다.
또, 홍 전 시장의 알 박기 인사 등으로 흔들린 조직을 다잡는 것도 시급해 보입니다.
조기 대선과 새 정부 구성이라는 불확실한 정국을 거쳐 1년 넘게 시장 대행 체제의 중압감을 극복해야 하는 대구시.
시민 사회는 '기대 반 걱정 반'의 마음으로 시장의 빈자리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mbc 뉴스 박재형입니다. (영상취재 김경완, 화면 출처 대구 시정뉴스)
Copyright © 대구M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