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실무사 10명 중 6명 조기 퇴사…경기도도 예외 아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에 가장 많은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가 근무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조리실무사 10명 중 6명이 정년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과 함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급식실 조리실무사 자발적 퇴사율은 60.4%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조리실무사 응답자 수가 2천36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도에 가장 많은 학교 급식실 조리실무사가 근무하고 있는 가운데 전국적으로 조리실무사 10명 중 6명이 정년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 강도는 높지만 열악한 근무 여건이 개선되지 않으면서 신규 인력 충원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16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과 함께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급식실 조리실무사 자발적 퇴사율은 60.4%로 집계됐다. 2022년(56.7%), 2023년(57.5%)에 이어 3년 연속 증가세다. 입사 3개월 내 퇴사율도 15.6%에 달했다.
경기도는 조리실무사 응답자 수가 2천36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그만큼 수요도 높은 상황이지만, 급식실 인력난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경기도의 조리실무사 결원율은 4%로 전국 평균과 같았지만, 올해 상반기 신규 채용 미달률은 29%에 달했다.
응답자의 66.6%는 지난 1년간 결원으로 인해 노동 강도가 ‘매우 강해졌다’고 답했다. 병가·연차조차 ‘자유롭게 쓰지 못한다’는 비율은 60.8%에 달했다. “사람이 없어 일을 배우기도 전에 바로 실무에 투입됐다”는 응답도 있었다.
학비노조는 “인력 충원, 처우 개선, 노동환경 개선 등 교육 당국의 근본적인 대책이 없다면 현재와 동일한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교육 당국의 근본적 대책을 촉구했다.
오종민 기자 fivebell@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천 ‘천원주택’ 입주 시작…“내 집 마련에 큰 도움될 것”
- 日 도카라 열도, 2주 사이 지진 1천회 이상…"7월 대지진설은 루머"
- 로하스, 外人 최다홈런 기록…KT, 키움에 위닝 시리즈
- KT 로하스, KBO리그 외국인 타자 통산 최다 홈런 ‘폭발’
- 대법원, 이규생 인천시체육회장 당선 무효 확정
- 노래방 도우미와 라이브 방송…서울시 공무원 해임
- '슬기로운 공직생활' 돕는다...수원교육지원청, 새내기 공무원 지원 프로그램 [꿈꾸는 경기교육]
- [기고] 모두의 생명 지키는 ‘고속도로 안전띠’
- 李대통령, 김민석 국무총리 임명안 재가
- 박서준, 무단 광고 식당 상대…손배소 일부 승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