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테무 옷도 못 사겠네"…예일대, 관세로 美 옷값 최대 64% 상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트럼프발 무역전쟁 여파로 미국 소비자들의 '옷값' 부담이 커질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관련 업계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증가한 비용이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했다.
미국 의류 및 신발 협회 측은 "미국에서 대규모로 생산되지 않는 의류 및 재료에 대한 관세는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트럼프발 무역전쟁 여파로 미국 소비자들의 '옷값' 부담이 커질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현지 시간) CNBC에 따르면 예일대학교 예산연구소는 "관세는 의류와 섬유에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치고, 단기적으로 옷값을 64% 상승시키고, 장기적으로는 27%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미국 의류 및 신발 협회가 발간한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의류와 신발의 97%를 수입에 의존하는데 그중 상당 부분이 중국과 베트남에서 생산된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1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중국산 제품에 대해선 145%의 고율 관세를 매겼다.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선 상호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했는데, 유예 전 베트남에 책정했던 상호 관세는 46%로 높았다.
관련 업계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으로 증가한 비용이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것이라 우려했다.
미국 의류 및 신발 협회 측은 "미국에서 대규모로 생산되지 않는 의류 및 재료에 대한 관세는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이는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국소매업연맹의 대정부 관계 담당 부사장인 데이비드 프렌치는 "관세는 미국 수입 업자가 지불하는 세금으로, 공급업체가 아닌 최종 소비자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옷값 부담이 커지면 중국의 테무나 쉐인 등 온라인 마켓에서 저렴하게 옷을 구매하던 미국 내 저소득층이 받는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또 모조품이나 중고품 매장에서 쇼핑하거나 수입 상품을 더 적게 구매하는 방법을 택하는 등 소비 패턴을 바꾸는 소비자도 늘어날 전망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only@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 여친 "폭행에 성병"…배우 전호준 "맞은 건 나" 반박
- 건강이상설 고지용 찾은 은지원 "왜 이렇게 말랐어"
- 홍준표 "이준석에 투표, 사표 아닌 미래에 대한 투자"
- 남보라, 미모의 여동생과 화보 "사랑스런 자매"
- 암투병 이솔이, 박성광 놔두고 유럽행 "죽기 전에 가고파"
- "첫눈에 반했나요"…티아라 효민 신혼집 최초 공개
- 작년 수능 3등급도 연·고대 합격…"의대 영향에 올해는 또 다를 것"
- "백종원, 욕 입에 달고 살아…방송사 슈퍼갑"
- '김문수 지지' 김흥국 "좌파 예산은 많은데 우파는 없어"
- 임신 서민재, 유서 올리고 닷새째 침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