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그, 게임 아이템 허위 표시하다 덜미…과징금 3600만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온라인 게임업체 코그가 게임 아이템의 당첨 구조·확률을 허위로 알리다 제재를 받게 됐다.
코그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온라인 게임 그랜드체이스클래식에서 캐릭터의 성능을 올리는 장비 등을 확률형 아이템인 '구슬봉인해제주문서'를 통해 뽑기 형식으로 판매했다.
코그는 해당 주문서를 판매하면서 매 뽑기마다 정해진 당첨 확률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구조라고 알렸지만, 실제로는 일정 횟수 전까지 당첨이 불가능한 구조로 설계돼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게임업체 코그가 게임 아이템의 당첨 구조·확률을 허위로 알리다 제재를 받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전자상거래법 위반 혐의를 받는 코그에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360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코그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온라인 게임 그랜드체이스클래식에서 캐릭터의 성능을 올리는 장비 등을 확률형 아이템인 '구슬봉인해제주문서'를 통해 뽑기 형식으로 판매했다.
코그는 해당 주문서를 판매하면서 매 뽑기마다 정해진 당첨 확률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구조라고 알렸지만, 실제로는 일정 횟수 전까지 당첨이 불가능한 구조로 설계돼 있었다. 3회 뽑기까지는 당첨 확률이 0%고, 이후 뽑기 횟수가 더해질수록 당첨 확률이 점차 상승하는 방식이었다.
또, 소비자가 이미 뽑기를 통해 장비를 보유한 경우에는 당첨 확률이 낮아지는 구조도 적용돼 있었다.
예컨대, 이미 뽑기로 이미 9개의 장비를 보유한 소비자는 3회가 아닌 9회까지 당첨 확률이 0%고, 이후부터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당첨 확률이 상승하는 방식이었다.
코그는 이런 방식으로 총 30억원 상당의 주문서를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위는 코그가 허위 사실을 알리거나 기만적 방법을 사용해 소비자와 거래했다고 판단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공정한 게임시장 기반이 마련될 수 있도록 온라인 게임 서비스 업체의 전자상거래법 위반 등 위법 행위에 엄정 대응하겠다"고말했다.
세종=원승일기자 won@dt.co.k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건희 성역화` 비판한 한동훈 "계엄 막자 배신이란 후보들은 뭐했나"
- [속보] 지름 5m 싱크홀 생긴 부산 공사현장에 또다시 3m 싱크홀 발생…"굴착 과정서 발생"
- "불법인줄 몰랐다"…거리에서 성관계 영상 촬영하다 체포된 커플 정체
- 박나래 자택 턴 도둑 잡혔다…경찰, 절도 용의자 1명 체포
- 안철수 "이재명 대통령 되면 연산군 시대로 정치 퇴행"
- 교황 장례식 각국 정상들 회동… 평화의 사도 교황의 마지막길이 `관세평화` 만들까
- 국민의힘 빅텐트속으로…한덕수 넘어 이낙연까지?
- KB금융, ELS 털고 1분기 `사상 최대`…자사주 3000억 소각
- 중기부, 혁신적 R&D 도전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 신규과제 19개 선정
- ‘HBM 날개’ SK하이닉스… 삼성전자 영업이익 또 제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