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국가연구개발사업 검토 체계 개편, 현장 의견 수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대규모 국가연구개발사업 검토 체계의 대대적인 개편과 관련, 현장 의견 수렴에 나섰다.
이번 설명회는 대규모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사전 기획 및 검토 체계의 대대적인 개편과 관련, 기존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폐지와 후속 제도 추진 방향을 과학기술계와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대규모 국가연구개발사업 검토 체계의 대대적인 개편과 관련, 현장 의견 수렴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일 오후 한국화학연구원 디딤돌플라자에서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의 대전환'을 주제로 공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대규모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한 사전 기획 및 검토 체계의 대대적인 개편과 관련, 기존 연구·개발(R&D) 예비타당성조사 제도의 폐지와 후속 제도 추진 방향을 과학기술계와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부는 지난해 R&D 예타 폐지 및 후속제도의 시행을 위해 국가재정법 및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안을 마련했으며, 두 법률안은 지난해 12월 12일 국무회의를 통과, 12월 13일 국회에 제출됐다.
현재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안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논의 중이며, 국가재정법 개정안은 기획재정위원회에 회부된 상태다.
설명회에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타당성심사팀에서 R&D 예타 제도의 폐지 배경과 필요성, 그간 추진 경과와 R&D의 특성을 반영해 새로 도입될 사전 기획점검제, 맞춤형 심사제도 등 후속제도의 주요내용 및 기대효과 등에 대해 설명하고, 현장 참석자들과의 질의응답 시간도 이어졌다.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국가 R&D가 시대 변화에 부응해 더욱 전략적이고 유연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제도를 혁신해 나가겠다"면서 "이번 설명회를 시작으로 꾸준히 연구 현장과 소통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월급 안 부럽네… 월 500만원씩 따박따박 국민연금 받는 부부 첫 탄생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 아시아경제
- 1500원짜리 커피 팔아 스타벅스 추월…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했다 - 아시아경제
- "싸구려 취급 더는 못 참아"…'지브리 프사' 인기에 분노 폭발한 日감독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아이폰 333만원 된다"…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 아시아경제
- 동물단체 반발 속 "곰 350마리 없애겠다"…이유를 들어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