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철강·알루미늄 관세에 중기 '비상'…"정확한 정책 파악 어려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및 관련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행한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들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정보 부족'을 꼽았다.
이번 긴급 설문조사는 지난 12일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 이로 인한 기업의 애로와 정책 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진행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관세 정책 파악 어려움' 가장 큰 애로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도 '정보 제공'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및 관련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시행한 가운데 국내 중소기업들은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정보 부족'을 꼽았다.
중소벤처기업부는 31일 중소기업중앙회 및 철강·알루미늄 관련 협동조합과 공동으로 실시한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수출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긴급 설문조사는 지난 12일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 이로 인한 기업의 애로와 정책 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는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수출기업 중 설문에 응답한 600개사 대상으로 진행됐다.
먼저 미국 관세부과로 인해 겪고 있거나 앞으로 예상되는 애로사항으로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 어려움’(41.8%)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다.
이 외에 ‘관세 리스크로 인한 물류비용 상승’(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36.5%), ‘미국 관세 대상 여부 확인 어려움(28.2%)’, ‘미국 거래처의 수출계약 지연·취소로 인한 경영애로’(25.7%), ‘미국 수출 중인 국내 거래처 대상 발주 물량 감소’(23.3%), ‘미국 외 제3국에서의 수출 경쟁력 악화’(22.7%)가 뒤를 이었다.
응답기업 중 32.5%는 현재 관세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내용으로는 ‘생산비용 등 자체 비용 절감 노력(52.8%)’, ‘미국 거래처와 관세 부담 논의(51.8%)’, ‘유관기관 설명회 참여 등 정보탐색(30.8%)’, ‘거래처와 장기계약 체결(14.4%)’, ‘미국 현지 직접 진출(12.3%)’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 지원이 가장 필요한 부분으로는 ‘관세 관련 정보제공(51.3%)’이 꼽혔다. 이어 물류비용 지원 강화(46.7%)’, ‘정책자금 지원(40.5%)’, ‘법무·회계법인 등 관세 컨설팅(24.8%)’, ‘제3국 수출국 다변화 지원(19.2%)' 순으로 나타났다.
파생상품 수출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 중 43.4%가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변했다. 정부 지원 필요사항으로는 ‘미국 HS 코드 확인을 위한 전문 컨설팅’(42.4%), ‘철강·알루미늄 함량 계산 컨설팅’(41.4%), ‘통관 절차 등에서의 서류 대행’(33.5%),‘원산지 규정 강화를 위한 교육’(25.6%), ‘관세청,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등 HS코드 조회시스템 이용 교육’(23.6%) 순으로 나타났다.
중기부는 이번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수출 중소기업이 당면한 애로를 신속하게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15개 지역별 애로신고센터를 통해 수출전문관이 일차적인 상담·안내를 진행하며, 자금이 필요한 기업에 대해서는 지방중기청의 추천 절차를 거쳐 정책우선도 평가 면제 조치와 패스트트랙 절차 등을 통해 신속하게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노용석 중기부 중소기업정책실장은 "미국 관세로 인한 중소기업의 피해·애로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해 수출 중소기업 상황에 맞는 맞춤형 지원을 이어나가면서 중소기업의 애로와 불확실성을 해소해 나가겠다"고 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월급 안 부럽네… 월 500만원씩 따박따박 국민연금 받는 부부 첫 탄생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 아시아경제
- 1500원짜리 커피 팔아 스타벅스 추월…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했다 - 아시아경제
- "싸구려 취급 더는 못 참아"…'지브리 프사' 인기에 분노 폭발한 日감독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아이폰 333만원 된다"…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 아시아경제
- 동물단체 반발 속 "곰 350마리 없애겠다"…이유를 들어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