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택시가총액 2천320조원…수도권에 67.7% 집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의 주택시가총액이 2천300조원이 넘고, 전국에서 수도권 비중이 3분의 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에 따르면 2023년 말 전국 기준 주택시가총액은 6천839조원으로 집계됐으며, 서울(2천320조원)이 가장 크고 경기(1천986조원), 부산(389조원), 인천(321조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주택시가총액 배율은 2023년 기준 세종이 4.5배로 가장 높았고, 서울(4.2배), 대구(3.4배)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서울의 주택시가총액이 2천300조원이 넘고, 전국에서 수도권 비중이 3분의 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26일 오후 통계청과의 공동 포럼에서 지난 1월 새롭게 공표한 2011~2023년 지역별 주택시가총액 주요 편제 결과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2023년 말 전국 기준 주택시가총액은 6천839조원으로 집계됐으며, 서울(2천320조원)이 가장 크고 경기(1천986조원), 부산(389조원), 인천(321조원)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에서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67.7%에 달해 다른 지역을 압도했다.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주택시가총액 내 아파트 비중이 비(非) 아파트(단독·연립·다세대주택) 보다 높았다.
전국 기준 아파트 비중은 76.3%로 월등히 높았고, 단독주택이 15.5%, 연립·다세대주택이 8.2% 등의 순이었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 비중은 2015년 72.3%에서 2023년 78.2%로 상승한 반면, 단독주택 비중은 16.3%에서 11.6%, 연립·다세대주택 비중은 11.4%에서 10.2%로 각각 하락했다.
지역별 지역내총생산(GRDP) 대비 주택시가총액 배율은 2023년 기준 세종이 4.5배로 가장 높았고, 서울(4.2배), 대구(3.4배) 등이 뒤를 이었다. 전국 평균은 2.8배 수준이었다.
2015~2023년 주택시가총액 증가율은 세종(19.1%)과 제주(10.9%)가 가장 높았는데, 세종은 행정기관 이전, 제주는 관광업 호조 영향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은 이 같은 통계 활용 방안과 관련, "주택 가치 상승에 따른 부의 효과를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의 주택시가총액 대비 가계대출액 비율, 지역총소득 대비 주택시가총액 비율 등을 산출해 지역의 금융 불균형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anj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尹파면] "尹 주장 믿기 어렵다"…헌재 곽종근·홍장원 믿은 이유는 | 연합뉴스
- [尹파면] 대통령 발목 잡은 '아군' 김용현 진술…'정치인 체포' 인정 | 연합뉴스
- 조두순, 하교 시간대 재차 거주지 무단이탈…수 분 만에 귀가 | 연합뉴스
- [尹파면] 비상계엄에 '자멸'의 길로…윤석열의 정치 영욕 | 연합뉴스
- 경찰, 헌재 앞 경찰버스 파손 남성 구속영장 신청 검토 | 연합뉴스
- [尹파면] '탄핵 굿즈' 제작·거래 활발…'윤석열 시계'는 투매 양상(종합) | 연합뉴스
- 법원 "후크, 이승기에 5억8천만원 추가로 주라"…채무 맞소송 | 연합뉴스
- 양산서 27층 아파트 옥상서 도장작업 60대 근로자 추락해 숨져 | 연합뉴스
- 이정재·정우성, 中 엔터사 회동…배우 저우둥위도 만나(종합) | 연합뉴스
- 中장가계 '폭싹 속았수다' 홍보 이용…서경덕 "훔쳐본 것 시인" | 연합뉴스